[신흥국 경제 긴급점검] (2) 중국‥ 우려 목소리 커지는 자산버블 붕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흥국 경제 긴급점검] (2) 중국‥ 우려 목소리 커지는 자산버블 붕괴
중국의 자산 버블 붕괴가 심상치 않다.
지난해 100% 가까이 급등했던 상하이종합지수는 작년 1월 수준으로 되돌아갔다.
부동산시장에선 아파트 구매 계약 취소가 확산되면서 부동산 개발업체들이 토지매입 잔금을 대거 상환해야 하는 7∼9월에 고비를 맞을 것이라는 위기설도 나온다.
24일 상하이종합지수는 2803.02로 마감했다.
올 들어 46.7% 떨어졌다.
작년 10월16일 사상 최고치(6902.06)에 비해선 59.3% 급락했다.
주가 약세 요인으로는 통화 긴축과 비유통주 매각 등으로 인한 물량 부담 등이 꼽힌다.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가 수급 균형을 맞추고 시장 안정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밝혔지만 투자심리는 좀체 살아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선 "외환보유액을 재원으로 중국 증시에 투자하는 국부펀드를 만들어야 한다"(왕화민 베이징시 정협위원)는 주장까지 나온다.
앤디 시에 전 모건스탠리 수석이코노미스트는 "2010년은 돼야 강세장이 다시 시작할 것"으로 내다봤다.
부동산시장도 비슷한 양상이다.
베이징에서만 매달 아파트 계약 취소 건수가 1000건이 넘고 있다고 상하이증권보가 최근 보도했다.
계약 취소 현상이 늘자 개발업체들은 분양가 할인에 나서고 있으며,이는 이미 분양받은 투자자들의 불안 심리를 부추겨 뒤따라 계약을 취소하게 하는 악순환을 낳고 있다.
최근 상하이에서는 부동산 개발업체 즈청이 지난해 최저가의 2.5배에 낙찰받은 토지를 보증금 수천만위안을 떼이면서까지 포기했다는 보도가 나와 충격을 줬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집 지을 땅 확보에 혈안이었던 부동산 개발업체들이 아파트 가격 하락과 분양 저조로 자금난을 겪으면서 토지 처분에 나서는 사례가 줄을 잇고 있다.
선전시 집값은 올 들어 36% 떨어졌다.
중국 부동산업계는 올해 7100억위안(약 106조5000억원)의 자금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같은 부동산 버블 붕괴는 부동산 개발업체와 투자자들에게 대출해준 은행의 부실을 초래해 미국과 같은 금융위기로 번질 수도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오광진 기자 kjoh@hankyung.com
지난해 100% 가까이 급등했던 상하이종합지수는 작년 1월 수준으로 되돌아갔다.
부동산시장에선 아파트 구매 계약 취소가 확산되면서 부동산 개발업체들이 토지매입 잔금을 대거 상환해야 하는 7∼9월에 고비를 맞을 것이라는 위기설도 나온다.
24일 상하이종합지수는 2803.02로 마감했다.
올 들어 46.7% 떨어졌다.
작년 10월16일 사상 최고치(6902.06)에 비해선 59.3% 급락했다.
주가 약세 요인으로는 통화 긴축과 비유통주 매각 등으로 인한 물량 부담 등이 꼽힌다.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가 수급 균형을 맞추고 시장 안정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밝혔지만 투자심리는 좀체 살아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선 "외환보유액을 재원으로 중국 증시에 투자하는 국부펀드를 만들어야 한다"(왕화민 베이징시 정협위원)는 주장까지 나온다.
앤디 시에 전 모건스탠리 수석이코노미스트는 "2010년은 돼야 강세장이 다시 시작할 것"으로 내다봤다.
부동산시장도 비슷한 양상이다.
베이징에서만 매달 아파트 계약 취소 건수가 1000건이 넘고 있다고 상하이증권보가 최근 보도했다.
계약 취소 현상이 늘자 개발업체들은 분양가 할인에 나서고 있으며,이는 이미 분양받은 투자자들의 불안 심리를 부추겨 뒤따라 계약을 취소하게 하는 악순환을 낳고 있다.
최근 상하이에서는 부동산 개발업체 즈청이 지난해 최저가의 2.5배에 낙찰받은 토지를 보증금 수천만위안을 떼이면서까지 포기했다는 보도가 나와 충격을 줬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집 지을 땅 확보에 혈안이었던 부동산 개발업체들이 아파트 가격 하락과 분양 저조로 자금난을 겪으면서 토지 처분에 나서는 사례가 줄을 잇고 있다.
선전시 집값은 올 들어 36% 떨어졌다.
중국 부동산업계는 올해 7100억위안(약 106조5000억원)의 자금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같은 부동산 버블 붕괴는 부동산 개발업체와 투자자들에게 대출해준 은행의 부실을 초래해 미국과 같은 금융위기로 번질 수도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오광진 기자 kj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