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헤지펀드 관련규제의 단계적 완화 등 헤지펀드 도입의 필요성을 역설했습니다. 이창용 부위원장은 서울 리츠칼튼 호텔에서 열린 한국경제TV 주최 '헤지펀드코리아 컨퍼런스' 기조 연설에서 "헤지펀드는 레버리지를 통해 수익률을 극대화하는 것이 특징"이라며 "레버리지를 허용하지 않을 경우 금융시장의 성장에도 한계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창용 부위원장은 "과거 정부는 지나치게 안전을 추구해 레버리지를 허용하지 않았고 이는 금융산업 발전을 저해하는 이유로 작용했다"며 "정부는 이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가지고 있고 여전히 금융시장이 불안해 관련 규제를 일괄적으로 풀 수는 없지만 단계적으로 완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그동안 금융시장이 열악하기 때문에 레버리지를 허용하지 않았는데 규제를 푼다고 하니 우려하는 분들이 많은 것으로 안다"며 "헤지펀드는 하나의 투자 대안으로 외환위기 이후 헤지펀드가 없어서 많은 국부가 유출됐는지 등 전향적인 입장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창용 부위원장은 "헤지펀드의 도입은 금융규제 개혁을 추진하려는 이명박 정부의 금융정책 핵심과제"라며 "경쟁국들이 겪어 온 시행착오를 분석해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헤지펀드의 장점을 극대화한다면 한국 금융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키워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부위원장은 이를 위해 "내년 중 적격투자자로 구성된 사모펀드에 대해 펀드의 사전등록 규제를 사후보고로 전환하는 한편 적정수준의 레버리지 허용과 파생상품 투자한도 폐지 등 자산운용규제의 완화와 자산운용업자의 진입 규제 완화도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헤지펀드에 대한 리스크 관리 등 감독을 강화하고 헤지펀드 관련 커뮤니케이션 채널과 위기관리시스템을 갖추는 등 금융감독 역량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창용 부위원장은 "헤지펀드 관리감독, 정책과 관련한 것은 규제 당국이 확실히 담당하고 금융업계는 헤지펀드 시장이 열릴 것에 착실히 대비해 나간다면 우리나라에서도 전 세계에서 내로라 하는 헤지펀드사가 탄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김정필기자 jp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