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만원짜리 공짜폰을 받는 조건으로 24개월 의무 사용을 할까,약정 없이 30만원짜리 공짜폰을 받을까."

앞으로 휴대폰을 바꾸거나 이동통신 서비스에 새로 가입할 때는 이 같은 문제를 잘 판단해야 한다.

SK텔레콤KTF가 4월1일부터 사전에 사용기간을 약속하면 휴대폰 보조금(할인 혜택)을 더 주는 의무약정제를 도입하기 때문이다.

LG텔레콤은 당분간 의무사용 기간 없이 지금처럼 보조금을 제공키로 했다.


◆엇갈린 의무약정 전략

KTF는 12,18,24개월 등 의무사용 기간에 따라 휴대폰 구매시 일시불로 8만~18만원의 보조금을 지원한다.

의무약정제와 비슷한 '쇼킹 스폰서'(휴대폰 할부대금을 매달 지원하는 프로그램) 지원 금액도 1일부터 최대 36만원(현행 30만원)으로 올린다.

KTF는 4월부터 보조금 정책 전반을 의무약정 중심으로 바꿀 계획이다.

반면 SK텔레콤은 1일부터 의무약정제를 도입하지만 기존 보조금제도에 무게를 둘 방침이다.

LG텔레콤은 아예 의무약정제를 도입하지 않는다.

정부가 오는 7월부터 3세대 휴대폰의 가입자인증모듈(USIM) 카드를 개방키로 한 것이 이통사 보조금 전략을 각각 다르게 만든 배경이다.

USIM을 다른 이통사 휴대폰으로 옮길 수 있게 되면 이통사가 보조금을 지급해도 가입자 이탈을 막을 방법이 사라진다.

3세대 이동통신 가입자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는 KTF는 USIM 개방 후 의무약정제를 통해 보조금 안전장치를 마련할 계획이다.

3세대 가입자를 유치하고 있지만 2세대 가입자 비중이 매우 높은 SK텔레콤은 의무약정과 일반 보조금을 병행한다. USIM 카드가 아예 없는 LG텔레콤(부호분할다중접속:CDMA)은 기존 보조금 전략을 유지하기로 한 것.


◆'당근'될까 '족쇄'될까

보조금이 늘어날지 여부는 누구도 확답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KTF가 밝힌 의무약정 보조금(8만~18만원)은 종전에 제공하던 약관 보조금(3세대 기준 4만~30만원)에 비해 범위는 좁아졌지만 평균 지급액은 비슷한 수준이다.

30만~40만원대 공짜폰을 쉽게 찾을 수 있는 최근 시장 상황까지 감안하면 보조금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통사가 보조금 규모를 수시로 바꿀 수 있어 상황에 따라 보조금은 얼마든지 더 늘어날 수 있다.

업계에서는 의무사용 기간(중도해지 또는 분실시 위약금 지급)이라는 족쇄가 생기는 만큼 보조금이 의무사용 기간이 없을 때보다 최소 5만~10만원 이상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비슷한 수준의 보조금이라면 약정이 필요없는 LG텔레콤으로 옮기는 것이 유리하다.

다만 정확한 액수는 시장상황에 따라 매우 유동적일 것으로 예상됐다.

한 이통사 대리점 관계자는 "약정 보조금이라는 변수가 늘어난 것일 뿐 기존 보조금 체계는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며 "소비자 입장에선 약정기간과 위약금 산정방법을 정확히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