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 예측 완벽한 경제모델은 없다"

앨런 그린스펀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은 "현재 미국의 금융 위기가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최악의 고통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그린스펀 전 의장은 17일자 파이낸셜 타임스 신문에 기고한 글에서 이번 금융 위기의 심각성을 경고하고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의 원인인 집값이 안정돼야 금융 위기도 끝이 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린스펀 전 의장은 "지난 2006년 초 미국 주택 가격의 거품이 최고조에 달했고 그 후 거품이 꺼지면서 많은 미국인들이 집을 잃었다"고 말했다.

주로 투자용으로 사두었던 주택 60만채가 매물로 나왔고, 여기에 신규 주택물량 20만채가 더해져 집값이 빠르게 하락했다고 그린스펀은 설명했다.

그린스펀 전 의장은 주택 재고 청산비율이 최고 수준에 달할 때 비로소 집값이 안정될 수 있다며 그 시점이 몇 개월이 걸릴지는 아직 불확실하다고 말했다.

그린스펀은 이번 위기로 기존 금융 위험 평가 시스템이 큰 타격을 입었다고 지적했다.

수학적으로 정교한 경제예측모델은 금융 위기나 경기 침체의 조짐을 또 다시 예측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신뢰를 잃었다는 게 그린스펀 전 의장의 견해다.

신용 시장 시스템과 금융기관의 레버리지 비율, 유동성은 상대방의 지불능력에 대한 신뢰감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2007년 8월 BNP 파리바가 예상치 못한 서브프라임 모기지로 인한 거액 손실을 폭로함에 따라 그 믿음이 깨졌다고 그린스펀은 말했다.

그렇다면 현재 위험 관리 시스템은 무엇이 문제인가? 그린스펀은 현재의 위험 모델이나 계량경제학적 모델은 글로벌 경제를 움직이는 다양한 변수와 복잡한 상황을 포착하는 데 너무 단순하다고 지적했다.

그린스펀 전 의장은 금융시장에서 불규칙성을 모두 예측할 수는 없고, 위험 관리 모델이 결코 완벽할 수는 없다며 "과거 위기상황에서 그랬듯이 현재 위기에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고, 이 경험이 미래의 정책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미래 어떤 위기를 당할지 자신있게 예측할 수 없는 만큼 시장의 유연성과 공개적인 경쟁이야말로 경제적 실패들을 극복할 수 있는 최고의 안전장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런던연합뉴스) 김진형 특파원 kj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