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공백 안돼"..새 정부초까지 유임될 듯

일부 장관들, 퇴임식 등 예정했던 일정 미뤄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새 정부의 각료가 국회 인사청문을 거쳐 정식 임명될 때까지 국무위원 공석 사태를 초래하지 않도록 참여정부 마지막 각료들의 사표를 임기내에 수리하지 않을 방침인 것으로 19일 알려졌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국무위원들로부터 사표는 이미 받아둔 상태"라고 밝힌 뒤 "하지만 사표를 현 정부에서 수리하면 차기 정부의 새 장관 임명 전까지 국정공백 상황이 생기기 때문에 사표를 수리하지 않기로 방침을 정했다"며 "이들의 사표를 차기 정부에 그대로 넘길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정부 주요 정책을 심의하기 위해서는 국무회의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새 각료가 임명되기 전까지는 현 정부 장관들이 남아있어야 한다"며 "현 장관들에게 이 정부에서는 사표수리가 어렵고 '사표가 공식수리되기 전까지는 정부가 바뀌어도 현직에서 대기해야 한다'는 점을 설명했으며, 차기 정부 측에도 이런 사실을 통보했다"고 말했다.

청와대의 이 같은 방침은 이 당선인이 현행법 직제에 따라 13개 부처 장관 및 국무위원 2명을 18일 발표, 조만간 인사청문 요청서를 국회에 제출할 방침이지만 인사청문 일정 등을 감안할 때 빨라도 2월말, 늦으면 3월10일 이후에나 새 정부의 각료들이 공식 임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청와대의 이런 방침에 따라 일부 장관은 사실상 현 정부 업무가 종료되는 오는 22일 퇴임식을 가질 예정이었지만, 퇴임식 일정을 보류시켰고, 교수 출신 장관은 오는 25일 이후 대학 복직을 비롯, 강의 등 학교 일정 등을 뒤로 미룬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연합뉴스) 이상헌 기자 honeyb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