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공공과 민간이 함께 사업을 추진하는 공모형 PF에 대한 관심이 높은데요. 특히 올해는 은평 뉴타운 등 굵직한 프로젝트들이 많아 건설사들의 참여 경쟁이 뜨거울 전망입니다. 이러한 때 공모형 PF 사업의 개선점을 찾아야 한단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습니다. 이주은 기자입니다. 기자> 공모형 PF 사업에 관한 세미나가 열린 코트라 국제회의장. 높은 관심도를 반영한 듯 참석자들이 세미나 장을 가득 메웠습니다. 이번 세미나를 후원한 ㈜엠코는 올해 30여 건의 공모형 PF에 참여해 5000억원의 매출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진입장벽이 너무 높아 중소형 건설사들에게 어려움이 많다고 토로했습니다. “후발업체 입장에서는 (PF사업 초기 투자비용)그런 비용을 부담하기가 쉽지 않아 경영적인 측면에서 턴키에 비해 너무 높구요. 토지비가 경쟁입찰을 하다 보니 가격이 상당히 높아 향후 분양할 때 분양압력으로 작용해 부담이 됩니다." 주제발표를 맡은 심교언 교수는 문제의 근원은 평가 기준에서 토지가격 배점 비중을 높인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실제 토지가격 항목은 지난 2001년 토지공사의 첫 공모형 PF 첫 사업이었던 용인죽전과 용인동백지구에서 배점비중이 0였습니다. 그러나 지난 2003년 화성동탄지구에서는 20점을 넘어섰고 지난해 판교복합시설에선 무려 60점을 육박했습니다. 발주자가 비용 확보에 집착해 토지가격을 개발건설계획과 사업운영계획 보다 우선 시 하고 있단 얘기입니다. 이 때문에 용산프로젝트에선 상업업무 면적이 코엑스의 무려 5.5배에 이르고 있습니다. "사업자체를 통해서 도시가 건전하게 발전할 수 있도록 공모형 PF 사업이 활용되야하는데 토지가격이 너무 높아서 사업성 악화라든지, 장기적으로 불황이라든지 미분양 사태가 날 수 있는 우려가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 밖에도 사업추진의 효율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재무적 투자자의 역할을 제고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분양위주의 단기개발이 아닌 장기적이고 지속적 개발을 위해 기획력과 임대사업 관리 계획까지 제고한 사업자 선정이 이뤄져야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은평뉴타운 복합단지와 상암DMC 랜드마크 타워 사업. 영등포 교정시설 프로젝트와 광교신도시, 인천 청라지구 복합시설. 올해에만 수 십 조원에 이르는 대형 복합개발이 몰려있는 가운데 공모형 PF사업이 민간의 자의성을 충분히 발휘하고 부동산 개발의 선진 모델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사업자 선정 방법 변화가 선결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WOW TV-NEWS 이주은입니다. 이주은기자 jooeunwin@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