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의 국가경쟁력위원회

세계 주요 국가들은 각 분야의 혁신 리더들이 함께 모여 국가적인 아젠다를 논의하는 국가경쟁력위원회를 상설화해 미래 성장동력을 발굴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당초 민간이나 정부가 개별적으로 주도하는 형태로 시작했지만 혁신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범국가적인 기구로 발돋움하고 있다.

국가경쟁력위원회는 '제2의 진주만 공습'이라는 일본발 경제 공세에 시달리던 1980년대 미국에서 처음 그 모습을 나타냈다.미국의 산업경쟁력이 일본에 뒤처졌다는 위기감에 충격을 받은 미국 기업인들이 1986년 민간 주도의 국가경쟁력위원회(COC)를 만든 것이다.이 위원회는 2003년 산하에 국가혁신구상(National Innovation Initiative)을 따로 발족시켜 국가혁신 아젠다를 도출했다.

이 아젠다는 '미국을 혁신하라!(Innovate America!)'라는 보고서로 채택돼 미국의 정ㆍ재ㆍ학계 지도자들이 모두 참석하는 국가혁신지도자회의(National Innovation Summit)에 보고됐고 상당수의 제안들이 법제화됐다.COC 회의는 현재 3년마다 열리며 주요 기업 CEO와 학계 및 노동계 인사 등 민간인사들이 참여하고 있다.

EU(유럽연합)는 2000년 3월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개최된 EU 특별정상회의에서 2010년까지 미국을 추월해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이고 경쟁력있는 지식기반 경제를 만든다는 목표 아래 '리스본 전략'을 채택했다.리스본 전략은 △지식과 혁신 기반의 성장 △투자와 고용에 우호적인 환경 조성 △고용 창출 등 세 가지 영역에서 10대 실행과제를 제시했다.

캐나다는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국가'를 목표로 2002년 2월 '캐나다의 혁신전략'을 수립했으며 민ㆍ관 공동으로 '혁신과 학습을 위한 국가지도자회의(National Summit on Innovation and Learning)'를 개최했다.이 밖에 호주는 9명의 혁신 지도자회의 실행 그룹 위원을 구성해 2000년 2월 멜버른에서 '국가혁신지도자회의(National Innovation Summit)'를 열었다

불가리아 말레이시아 등 개발도상국도 혁신지도자회의 등 국가차원의 혁신포럼에 많은 정성을 기울이고 있다.불가리아에서는 2004년 이후 매년 10월 발칸에서 비영리조직인 ARC펀드(Applied Research and Communication Fund)가 주최하는 '국가혁신포럼'이 열린다.

우리나라도 2000년대 들어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혁신활동을 벌여왔다.기업들은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고객가치를 연구하고 시스템 혁신에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노력은 국가 차원의 전략적이고 장기적인 시각을 담지 못해 한계가 적지 않다는 평가다.각 주체가 개별적으로 혁신 활동을 추진함에 따라 정보 교환과 벤치마킹이 미흡하고 각 부문간 격차가 크게 나타났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고경봉 기자 kg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