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인조사만 하다 끝나는것 아니다", 국세청 자료 곧 확보

삼성그룹 비자금 의혹을 수사 중인 조준웅 특별검사팀은 31일 `차명계좌' 명의자로 확인된 삼성 계열사 임원 3명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를 벌였다.

특검팀은 오전에 김순주(59) 삼성카드 전무를, 오후에 민경춘(55) 삼성사회봉사단 전무를 각각 불러 조사했으며 전날 조사를 받았던 이무열(50) 삼성전기 상무를 두 번째로 소환해 조사했다.

김 전무는 삼성카드 영업본부장과 채권관리본부를 거쳐 현재 콜렉션관리본부장으로 재직 중이며, 민 전무는 삼성물산 경리과장과 그룹 비서실 임원, 삼성문화재단 이사, 삼성생명 상무, 삼성전기 전무를 거쳐 현재 사회봉사단 전무로 재직 중이다.

이 상무는 삼성전기에서 줄곧 경리ㆍ재무 파트를 맡은 `재무통'으로 경영지원실 재무지원팀장, 재무지원팀 상무보를 거쳐 2006년부터 경영지원실 재무지원팀ㆍ재경팀장을 맡고 있다.

특검팀은 이들 임원을 상대로 차명계좌 개설 경위와 개설에 동의했는지 및 차명계좌가 본인 것인지 여부 등을 조사하는 한편 그룹 차원의 비자금 조성 및 관리 의혹을 캐물었다.

민 전무는 조사를 받던 중 특별수사관과 함께 밖으로 나갔다가 40분만에 돌아왔으며 자신 명의의 계좌와 관련된 사항 등을 확인하고 돌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증권 등 계열사 실무자 5~6명도 출석해 차명계좌와 관련해 조사를 받았다.

공보관인 윤정석 특검보는 참고인들의 소환불응 등으로 수사가 다소 어려움을 겪는 것과 관련, "참고인들만 오라고 하다가 수사가 종결되는 것은 아니다"고 말해 조만간 피고발인 조사 등 `사건 당사자'들을 상대로 직접 수사에 착수할 방침임을 내비쳤다.

특검팀은 체포영장 청구나 공판 전 증인신문 등 참고인 불출석 문제를 풀어낼 `대안'을 활용하는 방안도 신중히 검토 중이다.

이와 함께 특검팀은 지속적인 요청 끝에 조만간 국세청으로부터 삼성 임직원들의 과세 관련 자료 등을 넘겨받기로 했으며 자료를 입수하는대로 차명계좌 개설 및 비자금 관리 의혹과 연결지어 분석하는 작업에 착수할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특검팀은 삼성화재 전산센터 압수수색과 관련, "삼성측에 확인해 달라고 요청한 부분에 대해 아직 확인된 것이 없어서 계속 압수수색을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특검팀 관계자는 압수수색 현장에서 증거를 없애려다 한때 긴급체포됐던 삼성화재 경리담당자 김모 부장과 관련, "김 부장의 증거인멸 혐의를 따로 인지해 수사할지와 `윗선'의 공모 여부를 수사할지 등은 아직 결정이 나지 않았으며 수사 진행 상황을 지켜봐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전날 변호사 3~4명이 특검 사무실을 방문해 특검팀과 접촉을 가진 것으로 확인돼 비자금 조성ㆍ관리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자료 분석과 참고인 소환 등에 치우쳤던 특검 수사가 조만간 `경영권 불법 승계' 부분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연합뉴스) 임주영 안희 이한승 기자 zoo@yna.co.krprayerahn@yna.co.krjesus7864@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