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집 장만을 생각하는 대부분 사람들은 대출을 받기 마련입니다. 헌데 금리는 점점 높아만가고 빌릴 수 있는 돈은 한정돼 있어 자금계획을 세우는 것이 만만치 않으셨을 텐데요. 이런 고민에 빠진 분들에게 모기지보험이란 새로운 상품이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최서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고공행진을 이어가며 10% 돌파를 예고하고 있는 주택담보대출금리. 내집마련을 위해 돈을 빌리려는 사람들의 부담은 더욱 무거워지고 있는 셈입니다. 특히, 높은 이자를 감안하고 대출을 받아도 수중에 갖고 있는 돈이 부족해 원하는 집을 구입하기란 쉽지 않은 경우가 태반입니다. 이런 고민에 빠진 수요자들에게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금융상품이 바로 '모기지보험' 연계 주택담보대출. '모기지보험'이란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채무자가 대출금을 갚지 못했을 때 보험사가 이를 대신 갚아 주는 상품입니다. 은행측의 대출 위험부담이 줄어들기 때문에 대출한도는 기존 60%에서 80%로 늘어납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주택담보대출을 이용해 3억원짜리 집을 살 경우 대출한도는 집값의 60%인 1억 8천만원. 수중에 1억 2천만원은 갖고 있어야 집을 살수 있다는 얘깁니다. 하지만, 모기지보험을 이용할 경우 6천만원민 있으면 3억원짜리 집을 살 수 있습니다. 이처럼 최소한의 현금으로 내집마련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여러 가지 제약 조건이 뒤따릅니다. 모기지보험의 경우 투기 지역의 집을 살 때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대부분이 투기 지역으로 묶여 있기 때문에 이들 지역의 집을 살 때는 모기지보험을 이용할 수 없습니다. 비투기 지역에서도 국민주택 규모인 전용면적 85㎡ 이하의 집을 살 경우에만 이 상품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금리 부담이 만만치 않은 상황에 추가적인 보험료 부담까지 떠안아야 합니다. 무주택 서민의 내집마련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도입한 모기지보험. 전문가들은 지난해말부터 금융권에선 경쟁적으로 모기지보험 대출상품을 출시하고 있지만, 자신의 소득수준을 충분히 검토한 뒤 대출을 받는 것이 좋다고 지적합니다. WOWTV-NEWS 최서우입니다. 최서우기자 swchoi@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