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첫 총리 인선문제를 놓고 이명박 당선인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일단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총리직을 맡지 않겠다고 밝혀 '비정치인'으로 가닥이 잡혔지만 비정치인 후보들도 한두 가지 '걸리는' 요소가 있어 당선인 주변에선 후보군 압축작업이 여의치 않다는 얘기가 나온다.

주호영 당선인 대변인은 9일 총리 인선과 관련,"정치적 고려 없이 일을 가장 잘할 사람을 인선할 것"이라고 밝혔다.주 대변인은 김형오 인수위 부위원장이 '총리는 비정치인으로 갈 것'이라고 언급한 데 대해서도 "현재로선 비정치인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고 즉답을 피했다.

이동관 인수위 대변인은 기자들에게 "당선인이 검증해 보라고 해야 (총리 후보가) 압축되는데 아직 그런 게 없다"고 말해 인선이 난항 중임을 시사했다.현재 유력하게 거론되는 비정치인 후보는 한승주 고려대 총장서리,안병만 전 외대총장,이경숙 인수위원장,손병두 서강대 총장 등이다.

이와 관련,당선인의 한 측근은 "그러나 이들 후보도 학연이 겹치거나 당선인과 같은 교회를 다니는 문제 등으로 지적 대상에 오른다"며 "당선인이 혼자 사무실에서 고민하는 시간이 많다"고 전했다.

반면 새 정부의 내각 구성에 대해서는 큰 틀이 잡혀가는 분위기다.

주 대변인은 "정부 운용은 내각 중심으로 운영할 것"이라며 "청와대 비서실은 규모를 줄이고 직급도 낮춰서 주로 내각과의 연락과 협조에 치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예컨대 정책기능을 관련 부처로 대거 이관하고 청와대 비서실은 대통령 보좌와 부처 간 업무협조에 치중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예산 기능을 청와대가 가져갈 것'이라는 일각의 관측에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고 말했다.이 경우 현재 청와대 내에서 장관급인 정책실장과 안보실장 등의 고위직은 폐지되고 '경제-안보수석' 등이 비서실 내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청와대 비서실장의 경우 정치인 쪽으로 기우는 모양새다.김형오 부위원장은 "과거 역대 정권에서 누가 초대 비서실장을 맡았는지를 살펴보라"며 "김영삼 대통령 때는 박관용 전 의장이었고 김대중 대통령 때는 김중권 의원,노무현 대통령 때는 문희상 의원이었다"고 말했다.

김 부위원장은 또 "김장수 국방부 장관의 이미지가 좋다.김정일 국방위원장과 악수하는 모습이 상징적이었다"고 긍정평가해 일각의 유임론에 힘을 실었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