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유력후보를 겨냥해 검증이 안 된 의혹을 무차별적으로 폭로했던 2002년의 김대업씨와 2007년의 김경준씨는 여러모로 비슷한 점이 많지만 검찰 수사에서는 확연히 달랐다.

김대업 사건에는 미온적으로 대응했던 검찰이 김경준 사건은 신속하게 처리,극명한 차이를 보였다.

2002년 5월 검찰은 당시 이회창 후보의 장남 정연씨의 불법 병역면제 혐의에 대한 수사에 나섰다.

김대업씨가 정연씨의 불법혐의를 은폐하기 위해 대책회의가 열렸다고 한 언론사에 제보하면서 이른바 김대업 사건이 불거졌던 것.

김씨는 당시 검·군 병역비리 합동수사반 수사에 민간인 신분으로 참여하면서 정연씨 혐의를 파악했다고 주장했었다.

당시 검찰은 대선을 두 달남짓 앞둔 10월께 '혐의 없음''증거 불충분'이라는 결론을 내렸지만 김대업씨에 대한 처리에 미온적인 태도였고 결국 김대업 사건은 이회창 후보의 낙선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이번 BBK 사건에서 검찰은 핵심인물인 김경준씨를 국내로 송환해 짧은 기간 동안 강도 높은 수사를 벌여 실체적 진실을 규명했다.

이른바 '김대업 학습효과'라도 생긴 듯 수사인력 53명을 투입해 한 달남짓 만에 김씨를 구속기소하는 속전속결을 보였다.

박민제 기자 pmj5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