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채용단계별 중점평가 항목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자기소개서에선 직업관, 면접에선 인성 '첫손'
구직자들이 합격이라는 ‘달콤한 열매’를 맛보기 위해서 통과해야할 관문이 많다.
보통 기업의 채용과정인 서류전형, 필기시험 또는 인·적성검사, 면접이 그것.
하지만 필기시험이나 인·적성검사처럼 명확하게 점수화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기업이 각 단계에서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보는지 짐작하기 힘들다.
이에 따라 빠른 시일 내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취업 내공을 쌓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업의 단계별 가중치를 꼼꼼히 살펴보는 것도 한 방책이다.
22일 인크루트(www.incruit.com )가 종업원수 100인 이상의 기업 223개사를 대상으로 단계별 채용과정 중점 평가항목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이력서에서는 학력사항, 봉사활동이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자기소개서에서는 직업관이, 면접에서는 태도와 자세가 각각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이력서에서 가장 많이 나온 응답은 학교(21.7%)가 1위를 차지했으며, 학과(20.3%)가 그 뒤를 이었다. 이력서 항목들 중에서는 학력사항을 가장 우선시 평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밖에 봉사활동(10.8%), 학점(8.7%), 연령(7.2%), 사진(7.2%), 관련 자격증(5.8%)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자기소개서에서는 직업관이 27.8%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2위는 지원동기로 25.6%를 차지 1위와 큰 차이는 없었다. 직업관에서는 지원자가 일을 대하는 태도와 열정을, 지원동기는 지원 회사에 대한 관심과 애정, 명확한 목표의식이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어 성격(13.0%), 입사 후 포부(11.2%), 가정환경 및 성장과정(10.3%), 생활신조(7.6%), 학창시절(4.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면접에서는 태도와 자세란 응답이 34.5% 가장 많았다. 무엇보다 인성에 큰 무게를 두고 구직자를 평가한다는 얘기다.
적극성(19.7%)이 두번째로 많이 꼽혔으며, 관련분야에 대한 전문성(12.6%), 신뢰성(11.2%), 문제해결능력(8.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경닷컴 이정우 기자 cyclone222@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
구직자들이 합격이라는 ‘달콤한 열매’를 맛보기 위해서 통과해야할 관문이 많다.
보통 기업의 채용과정인 서류전형, 필기시험 또는 인·적성검사, 면접이 그것.
하지만 필기시험이나 인·적성검사처럼 명확하게 점수화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기업이 각 단계에서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보는지 짐작하기 힘들다.
이에 따라 빠른 시일 내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취업 내공을 쌓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업의 단계별 가중치를 꼼꼼히 살펴보는 것도 한 방책이다.
22일 인크루트(www.incruit.com )가 종업원수 100인 이상의 기업 223개사를 대상으로 단계별 채용과정 중점 평가항목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이력서에서는 학력사항, 봉사활동이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자기소개서에서는 직업관이, 면접에서는 태도와 자세가 각각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이력서에서 가장 많이 나온 응답은 학교(21.7%)가 1위를 차지했으며, 학과(20.3%)가 그 뒤를 이었다. 이력서 항목들 중에서는 학력사항을 가장 우선시 평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밖에 봉사활동(10.8%), 학점(8.7%), 연령(7.2%), 사진(7.2%), 관련 자격증(5.8%)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자기소개서에서는 직업관이 27.8%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2위는 지원동기로 25.6%를 차지 1위와 큰 차이는 없었다. 직업관에서는 지원자가 일을 대하는 태도와 열정을, 지원동기는 지원 회사에 대한 관심과 애정, 명확한 목표의식이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어 성격(13.0%), 입사 후 포부(11.2%), 가정환경 및 성장과정(10.3%), 생활신조(7.6%), 학창시절(4.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면접에서는 태도와 자세란 응답이 34.5% 가장 많았다. 무엇보다 인성에 큰 무게를 두고 구직자를 평가한다는 얘기다.
적극성(19.7%)이 두번째로 많이 꼽혔으며, 관련분야에 대한 전문성(12.6%), 신뢰성(11.2%), 문제해결능력(8.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경닷컴 이정우 기자 cyclone222@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