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업, 대형사 중심으로 비중확대-대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우증권은 28일 최근 증권업 주가가 크게 하락했지만 투자대상을 수익 다각화와 자본시장통합법 이후 기회 선점 요건을 갖추고 있는 일부 대형사로 압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증권업에 대한 '비중확대' 투자의견을 유지하고 삼성증권, 한국금융지주, 우리투자증권을 최선호종목으로 꼽았다.
정길원 대우증권 애널리스트는 "거래대금의 레벨업과 대체수익원의 확대, 자통법 이후의 성장 모멘텀을 감안하면 시장 주가수익비율(PER) 13배 보다도 현저히 낮은 증권업종의 현재 밸류에이션은 충분히 매력적인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정 애널리스트는 "하지만 단순히 낮다는 의미에서 무차별적인 접근 보다는, 수익다각화와 자통법 이후의 기회선점 요건을 두루 가지고 있는 일부 대형사로 압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수익다각화의 정도에 따라 벌어지고 있는 수익의 질적·양적 차이와 향후 성장 모멘텀의 기초 체력(자본력, 브랜드, 도소매 판매망 등) 모두 삼성, 우리투자, 한국금융지주 등 일부 대형사가 월등히 앞서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이들 상위 증권사는 단기적으로는 자본확충에 대한 압박이 덜한 상황이므로, 2위권 업체들보다 수급부담에서도 여유로운 상황이라는 것.
한편 대우증권은 "신용융자 제도, 펀드판매보수 폐지, 유상증자 등 증권업 내면에 잠복하고 있는 이슈들 또한 향후 주가 흐름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신용융자제도에 대한 자율 규제 방향의 핵심은 증권사별 총한도의 규모와 설정 기준이라고 전했다. 정 애널리스트는 "자본력을 기준으로 한도가 설정되면 온라인사에게는 악영향이 불가피한 반면 영업력이 기준이 된다면 온라인사도 추가적인 신용공여 확대 여지가 생긴다"며 하지만 리스크기준 감독시스템 추진 등을 감안할 때 자본력의 반영은 불가피해 보인다고 분석했다.
펀드판매보수 폐지에 대해서는 이같은 방안이 현실화되더라도 수익성 하락은 제한적이라는 진단이다. 그는 총보수가 낮아져 시장의 파이가 확대될 것이라는 선험적 기대를 차치하더라도, 수익 방어를 위한 제반장치(계좌관리보수, 선취수수료율 상향 등)가 마련될 것으로 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정 애널리스트는 유상증자에 따른 단기적인 수급 불안과 주가 희석화(Dilution)는 피할 수 없겠지만, 이보다는 성장동력 확보에 더 많은 의미를 부여할 시점이라고 판단했다. 자본시장은 추세적으로 확장되고 있고, 향후 자통법 이후의 새로운 기회를 감안할 때 선점을 위한 효과적인 도구는 결국 자본력이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한경닷컴 정형석 기자 chs8790@hankyung.com
증권업에 대한 '비중확대' 투자의견을 유지하고 삼성증권, 한국금융지주, 우리투자증권을 최선호종목으로 꼽았다.
정길원 대우증권 애널리스트는 "거래대금의 레벨업과 대체수익원의 확대, 자통법 이후의 성장 모멘텀을 감안하면 시장 주가수익비율(PER) 13배 보다도 현저히 낮은 증권업종의 현재 밸류에이션은 충분히 매력적인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정 애널리스트는 "하지만 단순히 낮다는 의미에서 무차별적인 접근 보다는, 수익다각화와 자통법 이후의 기회선점 요건을 두루 가지고 있는 일부 대형사로 압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수익다각화의 정도에 따라 벌어지고 있는 수익의 질적·양적 차이와 향후 성장 모멘텀의 기초 체력(자본력, 브랜드, 도소매 판매망 등) 모두 삼성, 우리투자, 한국금융지주 등 일부 대형사가 월등히 앞서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이들 상위 증권사는 단기적으로는 자본확충에 대한 압박이 덜한 상황이므로, 2위권 업체들보다 수급부담에서도 여유로운 상황이라는 것.
한편 대우증권은 "신용융자 제도, 펀드판매보수 폐지, 유상증자 등 증권업 내면에 잠복하고 있는 이슈들 또한 향후 주가 흐름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신용융자제도에 대한 자율 규제 방향의 핵심은 증권사별 총한도의 규모와 설정 기준이라고 전했다. 정 애널리스트는 "자본력을 기준으로 한도가 설정되면 온라인사에게는 악영향이 불가피한 반면 영업력이 기준이 된다면 온라인사도 추가적인 신용공여 확대 여지가 생긴다"며 하지만 리스크기준 감독시스템 추진 등을 감안할 때 자본력의 반영은 불가피해 보인다고 분석했다.
펀드판매보수 폐지에 대해서는 이같은 방안이 현실화되더라도 수익성 하락은 제한적이라는 진단이다. 그는 총보수가 낮아져 시장의 파이가 확대될 것이라는 선험적 기대를 차치하더라도, 수익 방어를 위한 제반장치(계좌관리보수, 선취수수료율 상향 등)가 마련될 것으로 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정 애널리스트는 유상증자에 따른 단기적인 수급 불안과 주가 희석화(Dilution)는 피할 수 없겠지만, 이보다는 성장동력 확보에 더 많은 의미를 부여할 시점이라고 판단했다. 자본시장은 추세적으로 확장되고 있고, 향후 자통법 이후의 새로운 기회를 감안할 때 선점을 위한 효과적인 도구는 결국 자본력이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한경닷컴 정형석 기자 chs879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