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주식형 펀드로 유입되는 자금이 크게 줄어들면서 투신권을 비롯한 기관의 매매 패턴에도 변화가 일고 있습니다. 박병연기잡니다. 기관 매수자금의 원천인 주식형펀드 유입액이 감소세를 보이면서, 기관들의 매매패턴에도 변화가 일고 있습니다. 투신권은 이 달 들어 삼성전자를 비롯한 전기전자 업종 비중을 줄이고, 철강, 금속, 화학 등 중국 관련주로 매수 종목을 압축하고 있습니다. 과거 주식형 펀드 보유종목 1위는 항상 삼성전자가 차지해 왔지만 현재 상위 20개 주식형 펀드에서 삼성전자가 1위인 펀드는 절반이 채 안됩니다. 투신권은 삼성전자 등 IT주에 대한 비중을 줄이는 대신 포스코, 현대중공업 등 중국 관련주와 KT, SK텔레콤 등 통신주를 주로 사들이고 있습니다. 또 현대차, 한국전력, LG필립스LCD 등 상반기 주가 상승폭이 크지 않았던 종목과 삼성물산, 현대건설 등 일부 건설주에 대해서도 매수 관점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반면 증권사와 연기금은 하반기 이익 모멘텀이 높은 금융주와 실적호전 가치주로 부각되고 있는 석유화학 관련주에 대해 관심을 쏟고 있습니다. 증권사들은 신한지주와 우리금융, 국민은행 등 은행주와 삼성증권, 대우증권, 우리투자증권 등 증권주를 주로 사들였습니다. 연기금의 경우는 단기에 투자 성과를 거둘 수 있는 실적호전 가치주를 주로 사들이고 있습니다. 최근 연기금 순매수 상위종목에는 호남석유와 LG화학, 한화석화, KCC, S-Oil 등 석유화학 관련주들이 대거 올라있습니다. 시장전문가들은 최근 기관의 매수여력이 떨어지고 있긴 하지만, 앞으로도 기관이 주도하는 장세가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며, 향후 1-2개월간 기관의 매매동향을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WOW-TV NEWS 박병연입니다. 박병연기자 bypark@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