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원자력발전소에서 나오는 고준위 폐기물,즉 사용 후 핵연료를 저장하는 설비가 이미 70%나 차 있으며 2016년이면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이 문제의 해결 방안 모색을 더 이상 늦출 수 없다고 판단,사용 후 핵연료 처리 문제를 공론화하기로 했다.

4일 한국수력원자력과 산업자원부에 따르면 국내 20기의 원자력 전소에서 나오는 사용 후 핵연료 처리시설 총용량은 1만2561t인데 지난 5월 말 기준으로 70.2%(8814t)가 채워졌다.

특히 이는 전체적인 설비 상황일 뿐,중수로 방식인 월성원전은 총저장용량 5980t 가운데 80.1%인 4790t이 차있어 2009년께면 더 이상 저장공간 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 경수로는 전체 설비용량 6581t 가운데 4024t이 채워져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지만 울진원전은 2008년이면 용량이 포화상태에 이르게 된다.

때문에 월성원전과 울진원전의 경우 각각 저장공간의 간격을 좁히는 조밀저장 방식이나 건식저장 방식을 통한 저장 용량 확대를 추진 중이지만,이렇게 하더라도 2016년이면 더 이상 저장공간이 없을 것으로 한수원은 예상하고 있다.

사용 후 핵연료를 재활용해 다시 연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가공 과정에서 핵무기 원료인 플루토늄을 추출할 수 있다는 이유로 금지돼 있다.

정재형 기자 j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