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아파트가 많은 곳은 어디일까요? 바로 용산구인데요, 평균적으로 18년을 기록하면서 1위에 올랐습니다. 용산구 다음으로는 서대문구, 중구, 영등포구, 종로구 순이었는데요, 대부분이 과거에 인구 밀집도가 높았던 지역으로 나타났습니다. 노후화된 아파트가 많은 지금의 이 지역들이 재건축을 거친 10년 후에 또 어떤 모습으로 변해 있을지 기대가 되네요. 전국 아파트 매매가 0.08% 올랐고, 전세가는 0.05% 올랐습니다. 호재가 있는 지역들의 오름세가 두드러졌습니다. 1. 전국 아파트 매매가 서울이 0.08% 올랐는데요, 경전철 건설이 예정된 지역인 도봉구와 성북구를 중심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경기도는 0.11% 올랐는데요, 시흥시가 이번주에도 강세를 이어갔습니다. 신도시는 0.02%로 여전히 큰 변동사항 없이 잠잠한 모습 지속되고 있습니다. 광역시는 0.1%로 비교적 올랐지만 도별로는 0%로 보합세를 기록하고 있는 상탭니다. (서울시 아파트 매매가) 도봉구 방학동 신동아1단지 72㎡ 매매가 1억5000만원 / 1500만원 상승, 성북구 정릉동 태영 59㎡ 매매가 1억7800만원 / 500만원 상승 (경기도 아파트 매매가) 시흥시 하상동 금호 76㎡ 매매가 1억2800만원 / 500만원 상승, 이천시 송정동 수림1차 79㎡ 매매가 1억원 / 500만원 상승 2. 전국 아파트 전세가 서울시 아파트 전세가 0.08% 올랐는데요, 매매와 마찬가지로 도봉구와 성북구가 전세가도 동반상승하는 모습 보였습니다. 경기도 0.05% 오름세 있었는데요, 안산시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신도시는 0.01%로 보합세 이어지고 있고, 광역시 0.03% 도별로 0.05%로 소폭의 오름세 있었습니다. (서울시 아파트 전세가) 서대문구 북가좌동 일신휴먼빌 102㎡ 전세가 1억8500만원 / 1000만원 상승, 강남구 논현동 동현 109㎡ 전세가 2억7300만원 / 1000만원 상승 8월14일 분양일정입니다. 모델하우스 오픈 - 인천시 연수구 송도자이 하버뷰1,2단지 / 청약접수 - 서울시 성북구 정릉동 래미안길음뉴타운9단지 무주택,1순위 / 인천시 계양구 병방동 영무예다음 무주택,1,2,3순위 서울 동대문 운동장이 새롭게 변할 것 같습니다. 동대문운동장 공원화 사업에 공모를 실시한 결과 영국의 건축가 하디드의 설계도가 당선되었다고 하는데요, 동대문운동장에 들어설 공원의 모습이 기하학적이면서도 아름다울 것이라고 하니 기대가 됩니다. 마지막으로 성북구의 시세보시면서 마치겠습니다. 지금까지 벽산 블루밍에서 제공하는 오늘의 아파트시세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