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단계 자성대부두 개발로 업무부지 확보

개발 방향을 놓고 논란을 빚어온 부산항 북항재개발이 매립을 최소화하는 친수형으로 최종 결론났다.

또 2020년 이후 활용도가 떨어지는 자성대부두를 국제업무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재개발부지 용도에 대한 균형을 맞추기로 했다.

해양수산부와 부산시, 부산항만공사는 지난달 11일부터 30일까지 시민 1천99명을 상대로 토론회와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공론조사를 벌인 결과 56.8%가 매립을 최소화한 친수형 개발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공론조사에 참여한 시민들은 공원을 비롯한 휴식공간이 다른 안보다 많고 타원형 모양의 인공섬 등 전체적인 디자인이 우수한 점을 들어 친수형을 선호했다.

시민들이 선택한 최종 개발계획은 북항 일대 56만㎡를 매립해 마련한 여객터미널, 1~4부두 일대 142만㎡의 부지 가운데 38만4천㎡를 공원과 광장 등 친수공간으로 이용하고 10만5천㎡만 상업.업무지구로 활용한다.

나머지는 도로 등 공공용지가 대부분이다.

상업.업무공간으로 전용될 가능성이 높았던 2~3부두 사이의 10만1천㎡ 가량의 인공섬 형태의 유보지는 해양문화지구로 지정된다.

1부두는 연안여객부두와 유람선 선착장으로, 2부두는 해양레저부두로, 3,4부두는 국제여객선과 크루즈선 부두로 각각 활용된다.

항만 재개발지역과 부산역은 폭 100m짜리 대형 잔교 2개로 연결, 접근성을 높이기로 했다.

2020년까지 진행되는 이 사업에 투입되는 사업비는 기반시설비 1조5천300억원을 포함해 총 8조100억원이며, 중앙 정부로부터 3천40억원의 예산을 지원받아야 원활하게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2020년 이후 2단계 사업은 부산신항 활성화에 따라 활용도가 떨어질 것으로 보이는 자성대부두 113만5천㎡를 국제교류업무지구와 IT, 전시, 영상 외에 주거기능까지 갖추는 방향으로 개발할 방침이다.

해수부와 항만공사는 관련 부처 협의 후 항만재개발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9월 중 기본계획을 확정, 고시하고 올해 안에 사업계획 수립과 시행자지정까지 마칠 계획이다.

사업착공은 실시설계가 끝나는 내년 하반기에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부산연합뉴스) 박창수 기자 swiri@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