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제약업계의 글로벌 신약 개발을 돕기 위해 신약의 상업화 추진 단계에서 성공불융자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고려하고 있다.

산업자원부는 28일 서울 역삼동 르네상스 호텔에서 열린 바이오산업 세계선도화 포럼에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타결로 위기에 처한 국내 바이오산업의 생존기반을 확보하고 세계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전략의 하나로 성공불융자의 도입을 위한 법적, 제도적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성공불융자란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나 회임 기간이 길고 리스크는 높은 사업에 대해 자금을 빌려준 뒤 성공하면 원리금은 물론, 특별부담금까지 받지만 실패할 경우에는 원리금 상환부담을 대폭 경감해주는 제도로, 현재 해외자원개발사업 등에 쓰이고 있는 기법이다.

산자부는 아울러 프로젝트 파이낸싱 형태의 펀드를 도입해 막대한 자금이 필요한 신약개발 투자에 민간 금융시장의 자금을 끌어들이는 방안도 연구하기로 했다.

이외에 의약품의 수출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의약품 제조품질 관리기준(cGMP)에 적합한 바이오 의약품 위탁생산공장의 건설과 신약연구에 필요한 연구,분석기기의 국산화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아울러 정부의 과제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됐거나 상업화를 눈앞에 둔 코오롱생명과학의 퇴행상 관절염 치료제 '티슈진-C', 녹십자의 B형 간염치료제, 이수앱지스의 국내 최초 항체 치료제 '클로티냅' 등의 사례 발표도 진행됐다.

행사에는 오영호 산자부 제1차관과 성공불융자 제도를 발의한 최철국 의원(열린우리당), 조완규 바이오산업협회 회장과 제약업계 대표 등 400여 명이 참석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종수 기자 jski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