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대한민국 BSC 대상] 균형전략실행체계 'BSC'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한민국 BSC 대상은 올해 3회째를 맞이하면서 이제 한국을 대표하는 경영혁신상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특히 BSC대상 수상 기업들이 전 세계 BSC(Balanced Scorecard) 도입 기업들과 자웅을 겨루는 'BSC 명예의 전당상'을 2년 연속 수상(2005년 KOTRA,2006년 LG필립스LCD)하면서 국내 기업의 BSC 도입 성과를 세계에 알리는 데도 기여했다.
BSC의 창시자인 로버트 캐플란 하버드대 교수는 "한국 BSC 대상 수상 기업이 2년 연속 'BSC 명예의 전당상'을 받게 된 것은 해외에서도 사례를 찾기 힘든 일"이라고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BSC 대상이 반향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급변하는 경쟁 환경 속에서 전략 집중도를 높여 성과를 창출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를 보여줬기 때문이다.
BSC에 대한 인식과 효과가 널리 퍼지면서 BSC 도입을 추진하는 기관도 급증하는 추세다.
◆BSC는 무엇인가
BSC는 캐플란 교수와 컨설턴트인 데이비드 노튼 박사가 1992년 공동으로 창안한 경영혁신 기법이다.
기업의 전체적인 전략 목표를 세우고 팀별,개인별 성과 지표를 세운 후 목표치와 구체적인 이행 과제를 수립한다.
이를 통해 조직이 세운 전략을 실행하는 데 전 조직의 역량과 활동을 집중시키는 것이 목표다.
초창기에는 성과를 단순 측정하는 개념에서 출발했지만 최근에는 전략 실행 관리와 조직 학습을 위한 개념으로 발전했다.
현재 제너럴 일렉트릭(GE) 코카콜라 등 '포천' 선정 1000대 기업 중 약 50%가 채택하고 있으며 미국 재무부 상무부 등 중앙 정부기관과 세계은행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 기관이 도입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공공 기관과 민간 기업을 중심으로 빠르게 보급되면서 그 진가를 인정받고 있다.
한국경제신문이 지난해 한국경영정보학회 SEM연구회 전국경제인연합회 등과 함께 국내 57개 기업 및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BSC 도입 현황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업들은 BSC를 통해 '혁신과 신상품 개발 촉진'(81%) '고객만족도 향상'(81%)에 가장 큰 도움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수익률 향상'(71.4%)과 '신사업 전개'(69.2%) 등에 효과가 있다는 응답도 많았다.
◆'개인 BSC'로의 진화
BSC의 개념은 빠른 속도로 진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개인의 포부와 비전,주요 역할을 조직의 전략 목표와 연계하는 P(Personal)-BSC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과거 BSC가 모든 조직 활동을 목표에 맞춰 추진토록 하는 데서 나올 수 있는 개인적 상실감을 극복하고 개개인의 발전을 통해 조직 전체의 발전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는 취지다.
예를 들어 어느 기업은 '재무 관점'에서 안정적 재정 확보와 부서 운영비 감축을 목표로,이를 위한 성과 지표로 총 예산 증가율과 운영비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
P-BSC에서는 이와 별도로 '학습과 성장 관점'에서 인사 전문 역량 강화를 목표로,성과 지표로는 관련 전문서적 독서량이나 자격증 획득 여부를 정하는 식이다.
또는 좋은 남편·아빠 되기를 목표로 정한 후 가족들과 함께 교제하는 시간을 성과 지표로 설정할 수 있다.
고경봉 기자 kgb@hankyung.com
특히 BSC대상 수상 기업들이 전 세계 BSC(Balanced Scorecard) 도입 기업들과 자웅을 겨루는 'BSC 명예의 전당상'을 2년 연속 수상(2005년 KOTRA,2006년 LG필립스LCD)하면서 국내 기업의 BSC 도입 성과를 세계에 알리는 데도 기여했다.
BSC의 창시자인 로버트 캐플란 하버드대 교수는 "한국 BSC 대상 수상 기업이 2년 연속 'BSC 명예의 전당상'을 받게 된 것은 해외에서도 사례를 찾기 힘든 일"이라고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BSC 대상이 반향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급변하는 경쟁 환경 속에서 전략 집중도를 높여 성과를 창출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를 보여줬기 때문이다.
BSC에 대한 인식과 효과가 널리 퍼지면서 BSC 도입을 추진하는 기관도 급증하는 추세다.
◆BSC는 무엇인가
BSC는 캐플란 교수와 컨설턴트인 데이비드 노튼 박사가 1992년 공동으로 창안한 경영혁신 기법이다.
기업의 전체적인 전략 목표를 세우고 팀별,개인별 성과 지표를 세운 후 목표치와 구체적인 이행 과제를 수립한다.
이를 통해 조직이 세운 전략을 실행하는 데 전 조직의 역량과 활동을 집중시키는 것이 목표다.
초창기에는 성과를 단순 측정하는 개념에서 출발했지만 최근에는 전략 실행 관리와 조직 학습을 위한 개념으로 발전했다.
현재 제너럴 일렉트릭(GE) 코카콜라 등 '포천' 선정 1000대 기업 중 약 50%가 채택하고 있으며 미국 재무부 상무부 등 중앙 정부기관과 세계은행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 기관이 도입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공공 기관과 민간 기업을 중심으로 빠르게 보급되면서 그 진가를 인정받고 있다.
한국경제신문이 지난해 한국경영정보학회 SEM연구회 전국경제인연합회 등과 함께 국내 57개 기업 및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BSC 도입 현황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업들은 BSC를 통해 '혁신과 신상품 개발 촉진'(81%) '고객만족도 향상'(81%)에 가장 큰 도움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수익률 향상'(71.4%)과 '신사업 전개'(69.2%) 등에 효과가 있다는 응답도 많았다.
◆'개인 BSC'로의 진화
BSC의 개념은 빠른 속도로 진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개인의 포부와 비전,주요 역할을 조직의 전략 목표와 연계하는 P(Personal)-BSC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과거 BSC가 모든 조직 활동을 목표에 맞춰 추진토록 하는 데서 나올 수 있는 개인적 상실감을 극복하고 개개인의 발전을 통해 조직 전체의 발전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는 취지다.
예를 들어 어느 기업은 '재무 관점'에서 안정적 재정 확보와 부서 운영비 감축을 목표로,이를 위한 성과 지표로 총 예산 증가율과 운영비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
P-BSC에서는 이와 별도로 '학습과 성장 관점'에서 인사 전문 역량 강화를 목표로,성과 지표로는 관련 전문서적 독서량이나 자격증 획득 여부를 정하는 식이다.
또는 좋은 남편·아빠 되기를 목표로 정한 후 가족들과 함께 교제하는 시간을 성과 지표로 설정할 수 있다.
고경봉 기자 kg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