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업체는 신용이 낮은 저소득층이 주로 이용한다.

신용도가 낮아 은행과 저축은행 등 제도권 금융회사에는 갈 엄두를 내지 못하거나 대출을 받으려다 거절당한 사람들이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대부업체에서 급전을 빌려 쓰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1~10등급으로 나눠진 신용등급 가운데 7~9등급인 사람들이 대부업체를 찾고 있다.

10등급은 파산 가능성이 높은 소위 '신용불량자'들로 등록 대부업체에서조차 외면받는다.

한국신용정보에 따르면 전체 금융이용자(3467만명) 중 7~9등급 해당자는 484만명(14%) 정도이다.

저신용자들이 급전을 빌리기 위해 대부업체로 내몰리고 있는 것은 대부분의 금융사들이 신용 위험(대출 부실화)을 이유로 기업 및 담보대출 위주로 영업을 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신용대출은 대출 심사를 까다롭게 해 웬만한 신용으로는 이용하기가 어려워진 것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은행의 신용대출 비중은 1998년 51.2%에서 2005년 43.2%로 급감했다.

저축은행의 경우 2003년 말 36.6%였던 개인신용대출 비중이 작년 6월 말 20.7%로 뚝 떨어졌다.

이처럼 제도권 금융회사들이 대출 심사를 엄격하게 하면서 최근에는 저신용자들뿐 아니라 일반 서민 중 대부업체를 찾는 이들이 늘고 있다.

복잡한 심사 단계를 거치는 은행이나 저축은행과 달리 대부업체에서는 인터넷으로 간단하게 돈을 빌릴 수 있다는 편의성도 대부업이 활성화되고 있는 이유로 꼽을 수 있다.

물론 등록 대부업체에서 돈을 빌리지 못하는 저신용자들은 무등록 불법 대부업체를 찾기도 한다.

이 경우 연 200%가 넘는 초고금리를 적용받는다.

한나라당 이재오 의원이 지난해 국정감사 정무위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부업체의 평균금리는 223%에 이른다.

이 같은 부작용을 개선하기 위해서라도 서민금융을 양성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황경남 기자 knhw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