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장 혁신센터] 서울대 Bio-IT 파운드리 서울센터‥바이오칩 공정기술 보급 앞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BIT 융합기술은 유전 및 단백질 정보가 담긴 DNA 서열을 반도체칩처럼 기판에 집적시키는 첨단기술이다.
장래 각광받을 첨단산업 가운데서도 가장 기술적으로 진보됐을 뿐만 아니라 미래 인류의 삶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기대되는 분야다.
서울대학교 Bio-IT 파운드리 서울센터(센터장 한동철)는 한국전자산업진흥회가 BIT 융합기술을 산업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해 주관하는 공동 연구센터 중 하나다.
바이오기술(BT) 정보기술(IT) 나노기술(NT) 등의 융합기술을 조기에 산업화하기 위해 관련 기업체와 연계, 산·학·연 공동 BIT 파운드리 서비스 및 시험평가를 위한 장비 구축에 힘쓰고 있다.
BIT융합기술 산업화는 3개 대학이 공동 수행 중이다.
서울대 정밀기계설계 공동연구소 내에 설치된 서울센터는 'BIT시스템용 핵심소자 설계 및 제작 서비스', 부산대에 마련된 부산센터는 'BIT융합 시스템용 BIO모듈 제작 및 생물정보시스템 구축'을 담당하고 있다.
전남대에 들어선 광주센터는 'BIT응용 소자기반 BIO 센서 제품화 및 시제품 제작 지원'을 맡고 있다.
이 가운데 서울센터는 주로 유리와 플라스틱 기판에 바이오 정보를 담기 위한 사진 식각 접합 등의 단위공정 기술을 바탕으로 '원스톱 파운드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센터는 보유한 공정기술을 보급하기 위해 여러 연구자의 설계를 토대로 바이오칩을 공통된 공정으로 제작하는 '다설계 공동 제작 프로그램'(Multi Project Chip)을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바이오칩 표준 제작공정 확립과 센터 내 구축 장비 이용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Bio-IT 파운드리 서울센터는 랩온어칩 기반 BIT 시스템용 핵심소자를 제작하기 위해 △기판 식각에 필요한 미세금형 제작기술 개발 △칩 공정라인(Fab) 및 설계실 건설 △미세 주조·단조 기술 개발 △미세소자 패키징 및 마스크 기술 연구 등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센터는 5개년 기술개발 로드맵을 성공적으로 마쳐 바이오벤처의 시장창출과 산업구조 고도화에 기여한다는 각오다.
정종호 기자 rumba@hankyung.com
장래 각광받을 첨단산업 가운데서도 가장 기술적으로 진보됐을 뿐만 아니라 미래 인류의 삶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기대되는 분야다.
서울대학교 Bio-IT 파운드리 서울센터(센터장 한동철)는 한국전자산업진흥회가 BIT 융합기술을 산업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해 주관하는 공동 연구센터 중 하나다.
바이오기술(BT) 정보기술(IT) 나노기술(NT) 등의 융합기술을 조기에 산업화하기 위해 관련 기업체와 연계, 산·학·연 공동 BIT 파운드리 서비스 및 시험평가를 위한 장비 구축에 힘쓰고 있다.
BIT융합기술 산업화는 3개 대학이 공동 수행 중이다.
서울대 정밀기계설계 공동연구소 내에 설치된 서울센터는 'BIT시스템용 핵심소자 설계 및 제작 서비스', 부산대에 마련된 부산센터는 'BIT융합 시스템용 BIO모듈 제작 및 생물정보시스템 구축'을 담당하고 있다.
전남대에 들어선 광주센터는 'BIT응용 소자기반 BIO 센서 제품화 및 시제품 제작 지원'을 맡고 있다.
이 가운데 서울센터는 주로 유리와 플라스틱 기판에 바이오 정보를 담기 위한 사진 식각 접합 등의 단위공정 기술을 바탕으로 '원스톱 파운드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센터는 보유한 공정기술을 보급하기 위해 여러 연구자의 설계를 토대로 바이오칩을 공통된 공정으로 제작하는 '다설계 공동 제작 프로그램'(Multi Project Chip)을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바이오칩 표준 제작공정 확립과 센터 내 구축 장비 이용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Bio-IT 파운드리 서울센터는 랩온어칩 기반 BIT 시스템용 핵심소자를 제작하기 위해 △기판 식각에 필요한 미세금형 제작기술 개발 △칩 공정라인(Fab) 및 설계실 건설 △미세 주조·단조 기술 개발 △미세소자 패키징 및 마스크 기술 연구 등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센터는 5개년 기술개발 로드맵을 성공적으로 마쳐 바이오벤처의 시장창출과 산업구조 고도화에 기여한다는 각오다.
정종호 기자 rumb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