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 연구기관인 한국산업연구원(KIET)이 통일 후 북한의 산업발전 전략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관심을 끌고 있다.

오상봉 KIET 원장(사진)은 17일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내부사정으로 인해 갑작스럽게 남북한이 통일될 가능성이 있다"며 "이 경우 경제 분야에서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일 후 북한의 산업을 어떻게 발전시키는 게 바람직한지 연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KIET는 이달 초 내부의 북한산업팀과 국가균형발전연구센터가 중심이 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TF의 핵심멤버 3명은 현재 평양을 방문,공장 등을 둘러보며 기초자료 수집에 나섰다.

KIET는 통일 후 북한 산업발전 방안의 골자를 올 연말까지는 만들어내고 내년 5~6월께 최종 보고서를 작성한다는 일정을 세웠다.

오 원장은 "북한의 산업발전 전략은 1960~1970년대 남한의 사례를 벤치마킹해 권역별 유망산업을 집중배치,육성하는 것을 기조로 삼고 있다"고 전했다.

KIET는 북한을 서해안 3개 권역,동해안 3개 권역,북부 권역 등 7개 권역으로 구분하고 있다.

서해안의 경우 △송유관이 지나가는 신의주 권역은 석유화학과 섬유 △인구가 밀집해 있는 평양 권역은 경공업 △곡창지대인 해주는 비료 등 농산업의 배치가 유망할 것으로 KIET는 보고 있다.

동해안은 △함흥 흥남 권역은 조선과 기계산업 △나진과 선봉권역은 정유산업 △청진권역은 기타 중화학공업을 각각 육성하는 그림이다.

개마고원 등 북부권역은 방위산업과 철강 등이 유망할 것으로 KIET는 관측하고 있다.

KIET는 그러나 업종별 전문가가 참여하는 등 연구가 진척되면 이 같은 권역별 업종 배치그림이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오 원장은 "북한의 산업지형은 남한의 산업지형과 연계될 때 발전속도가 더욱 빨라질 것이기 때문에 좀 더 면밀한 분석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편 "통일에 대비해 선행 연구를 진행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북한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어 조심스럽다"고 덧붙였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