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그동안 당뇨병 비만 등 대사질환 치료물질로 주목받아온 생체 내 단백질 'AMPK'가 항암 기능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처음 밝혀냈다.이에 따라 AMPK를 이용한 새로운 항암 치료제 개발은 물론 이를 이용해 개발된 당뇨병치료제 등 기존 약물의 항암 치료제로의 활용 가능성도 높아졌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정종경 교수(44)연구팀은 'AMPK'단백질을 전혀 갖고 있지 않은 초파리 모델동물과 인간 대장암 세포를 이용한 연구를 통해 AMPK의 항암 기능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이날 자 영국 과학저널 '네이처' 온라인판에 게재됐으며 미국에서 특허출원 중이다.

정 교수팀은 이번 연구에서 인간의 대장암 세포 내에 AMPK의 활성을 인위적으로 증가시켜 그 변화를 관찰한 결과,암 세포의 비정상적 구조가 정상적으로 변화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AMPK 결손 초파리 모델에서 AMPK를 활성화하자 세포 구조의 정상화는 물론 염색체 개수도 정상화됐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AMPK가 항암 단백질 'LKB1'의 신호를 받아 세포 골격을 이루는 액틴 미세섬유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정 교수팀은 또 이번에 AMPK 결손 초파리 동물모델을 처음으로 제작함으로써 AMPK 관련 질환인 암 당뇨 비만 등에 대한 향후 연구에 활로를 연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AMPK는 세포의 에너지가 부족하면 활성이 증가해 대사관련 효소들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그동안 당뇨병이나 비만 등 대사질환치료제 물질로 주목받아 왔다.

실제로 AMPK의 활성을 높여주는 '메트포르민'이라는 약은 강력한 혈당강하 작용을 갖고 있어 제2형 당뇨병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노화억제,항암,항염증 등 만병통치 물질로 각광받고 있는 '레스베라트롤'도 역시 AMPK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됐다.

정 교수는 "AMPK는 이미 당뇨병 치료제 등으로 개발돼 사용되고 있는 만큼 향후 항암제로 개발되는 데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춘호 기자 ohc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