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되면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협정 발효 이후 10년 동안 6.0%(약 80조원) 늘어나고 34만개의 일자리가 새로 생겨날 전망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한국개발연구원(KDI) 노동연구원 등 11개 연구기관은 30일 내놓은 '한·미 FTA의 경제적 효과 분석' 보고서에서 이같이 분석했다.

정부는 연구기관들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6월 말까지 한·미 FTA 보완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연구기관들은 한·미 양국 간 교역 증대 등의 효과로 실질 GDP는 단숨에 0.32%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여기에 생산성 향상 효과가 더해질 경우 10년간 80조원(2018년 GDP 추정치의 6.0%)의 GDP 증가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하지만 한·미 FTA로 인해 가장 큰 피해를 입을 것으로 보이는 농업 부문의 생산은 6조7000억원 정도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10년간 농업 취업자는 1만명 감소하는 반면 제조업(7만9000명)과 서비스업(26만7000명) 등에서 일자리가 늘어 전체적으로 34만명의 고용 창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협정 발효 뒤 10년 안에 대미 무역흑자가 46억달러 늘어나는 데 힘입어 전체 무역흑자는 200억달러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관세 철폐에 따른 가격 하락,소비자 선택권 확대 등으로 생겨나는 소비자 후생 수준 증가도 20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차기현 기자 kh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