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폐장이 잃어버렸던 경주 발전을 100년 정도 앞당겨줄 것 같습니다."

최근 정부가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이하 방폐장)을 유치한 경주에 62개 사업,4조5623억원의 특별지원사업비를 지원키로 결정하자 경주시민들이 "문화재보호법에 묶여 재산권 행사 한번 제대로 못한 지난 40년 한을 한꺼번에 풀게 됐다"고 크게 반기고 있다.

23일 경주시에 따르면 정부의 방폐장 특별지원금 4조5000억원은 경주시가 연간 사용할 수 있는 가용 재원 700억원의 무려 60배를 넘어서는 규모다.

정부가 2개월 이내에 세부 시행계획을 마련해 사업 추진에 나서는 사업만 55개에 이른다.

천년 문화고도 경주의 지도를 완전히 바꿔놓을 사업들이 상당수 포함돼 있다.

대표적으로 사업비 1280억원의 컨벤션센터 건립 사업은 앞으로 경주에 다양한 국제행사 유치가 가능해져 경주의 문화관광 브랜드 가치를 업그레이드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또 2000억원을 들여 에너지 박물관도 세운다.

에너지 박물관은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본사 이전,양성자가속기 연구센터 등이 들어서는 경주 지역을 국내 최대 에너지 메카로 발전시키는 시너지 효과를 거둘 것으로 보인다.

경주의 자립 경제 기반을 높이는 지방공단 조성사업도 활성화된다.

정부는 양성자 가속기 배후단지 조성에 1480억원,천북 공단에 395억원,외동 제2 일반 공단에 753억원 등을 각각 지원키로 했다.

이 밖에 경주 한우 브랜드 육성과 국도 31호선(양남 나아~양북 대종교) 개설,경주~감포 간 국도 건설, 첨단 신라문화체험단지 조성사업 등이 단기 지원사업으로 확정됐다.

정부가 향후 추진 여건에 따라 지원키로 한 장기 검토 대상사업은 원자력병원 분원 설립(910억원)과 사이언스 빌리지(1000억원),동해안 에너지 환경기업도시 건설(3000억원),동해 해양관광단지 조성(3650억원),첨단 고고학 연구센터 설립(200억원) 등 총 7개 사업으로 민자유치를 포함해 총사업비가 1조원에 이른다.

경주=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