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 트래디셔널 캐주얼 웨어 '마켓파워' 분석...여전한 '빈폴' 아성 … 거세진 '폴로' 추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토종 브랜드인 빈폴이 장악해 온 국내 고급 트래디셔널(TD) 캐주얼 시장에서 글로벌 브랜드인 폴로의 추격이 거세졌다. 빈폴이 실적은 물론 고객 선호도 및 만족도 등에서 여전히 1위를 고수하고 있지만 작년 하반기부터 폴로가 무서운 속도로 추격,두 브랜드 간의 격차가 갈수록 좁혀지고 있는 것. 롯데백화점의 올 1~3월 본점 매출을 기준으로 빈폴과 폴로 간의 점유율 차이가 불과 0.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빈폴' 여전히 독주
한국경제신문과 한국갤럽이 2월 한 달간 만 19~59세의 전국 남녀 1514명을 대상으로 가구 방문을 통해 설문 조사를 벌인 결과,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구입한 캐주얼 브랜드는 38.8%를 얻은 빈폴이 차지했다. 폴로가 32.9%로 뒤를 바짝 좇았고 이 밖에 라코스테(14.9%) 헤지스(4.9%) 올젠(3.8%) 타미힐피거(2.8%) 헨리코튼(1.9%) 순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는 '최근 1년간 구입 경험이 있는 브랜드는 무엇인가'에 대해 각각의 브랜드가 얻은 표를 백분율로 환산한 것이다.
빈폴이 전 세계에서 폴로를 제친 유일한 토종 브랜드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실제 빈폴 남성복의 지난해 매출은 1478억원으로 폴로(1200억원 안팎)를 앞서고 있으며,여성복을 포함해 기타 서브 브랜드까지 합칠 경우 빈폴과 폴로가 각각 3800억원과 2000억원 수준으로 추정된다.
한국갤럽이 자체 개발한 미래 경쟁력 진단 지수인 G-CBPI에서도 빈폴이 36.9점으로 폴로(23.9)보다 높은 평가를 받았다. 설문 분석 결과 A브랜드를 사겠다는 소비자가 40%이고,A브랜드는 사지 않겠다는 소비자가 15%라면 G-CBPI는 25점이 된다. 신정호 한국갤럽 차장은 "이 지표는 TD 캐주얼 브랜드를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뿐만 아니라 비구입 잠재 소비자도 포함된 결과"라며 "빈폴은 기존 고객과 잠재 고객을 통틀어 소비 수요가 가장 많은 브랜드"라고 진단했다.
◆폴로,백화점발(發) 추격전
하지만 폴로가 작년 하반기부터 급상승,빈폴의 '독주 체제'를 흔들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특히 주요 판매통로인 백화점에서 이 같은 변화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신세계백화점 관계자는 "폴로,타미힐피거 같은 직수입 브랜드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빈폴 등 국내 브랜드는 성장세가 주춤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빈폴과 폴로의 성장세가 현격히 대비된다"며 "작년 하반기에 폴로가 10%대의 매출 증가율을 달성한 데 비해 빈폴은 소폭 성장에 그쳤다"고 덧붙였다.
현대백화점에서도 마찬가지다. 전점을 기준으로 지난 1~3월 매출을 분석한 결과 7개 브랜드 가운데 폴로가 전년 같은 기간보다 4% 성장해 가장 높았고 빈폴은 증가율이 1%에 그쳤다. 홍용기 롯데백화점 홍보팀 계장은 "7개 브랜드의 롯데백화점 본점 매출을 백분율로 환산,각각의 점유율을 산출해 보면 빈폴과 폴로가 각각 26.3%,26.2%로 거의 차이가 없다"고 말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폴로는 글로벌 브랜드로서 막대한 고객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상품의 다양성이나 각각의 수요층에 맞는 상품 개발 등에서 토종 브랜드에 비해 유리한 편"이라며 "최근 빈폴이 프리미엄급인 '컬렉션 라인'을 강화하면서 디자인 및 원단의 80%를 이탈리아에서 직수입하고 있는 건 이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진성 제일모직 빈폴부문 전략팀장은 "패션의 중심지인 이탈리아 밀라노에 해외 디자인 센터를 구축한 데다 국내에서 개발이 어려운 고급 울,실크 혼방,캐시미어 혼방류 등 수입 소재들을 사용해 '컬렉션 라인'을 생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
◆'빈폴' 여전히 독주
한국경제신문과 한국갤럽이 2월 한 달간 만 19~59세의 전국 남녀 1514명을 대상으로 가구 방문을 통해 설문 조사를 벌인 결과,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구입한 캐주얼 브랜드는 38.8%를 얻은 빈폴이 차지했다. 폴로가 32.9%로 뒤를 바짝 좇았고 이 밖에 라코스테(14.9%) 헤지스(4.9%) 올젠(3.8%) 타미힐피거(2.8%) 헨리코튼(1.9%) 순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는 '최근 1년간 구입 경험이 있는 브랜드는 무엇인가'에 대해 각각의 브랜드가 얻은 표를 백분율로 환산한 것이다.
빈폴이 전 세계에서 폴로를 제친 유일한 토종 브랜드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실제 빈폴 남성복의 지난해 매출은 1478억원으로 폴로(1200억원 안팎)를 앞서고 있으며,여성복을 포함해 기타 서브 브랜드까지 합칠 경우 빈폴과 폴로가 각각 3800억원과 2000억원 수준으로 추정된다.
한국갤럽이 자체 개발한 미래 경쟁력 진단 지수인 G-CBPI에서도 빈폴이 36.9점으로 폴로(23.9)보다 높은 평가를 받았다. 설문 분석 결과 A브랜드를 사겠다는 소비자가 40%이고,A브랜드는 사지 않겠다는 소비자가 15%라면 G-CBPI는 25점이 된다. 신정호 한국갤럽 차장은 "이 지표는 TD 캐주얼 브랜드를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뿐만 아니라 비구입 잠재 소비자도 포함된 결과"라며 "빈폴은 기존 고객과 잠재 고객을 통틀어 소비 수요가 가장 많은 브랜드"라고 진단했다.
◆폴로,백화점발(發) 추격전
하지만 폴로가 작년 하반기부터 급상승,빈폴의 '독주 체제'를 흔들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특히 주요 판매통로인 백화점에서 이 같은 변화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신세계백화점 관계자는 "폴로,타미힐피거 같은 직수입 브랜드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빈폴 등 국내 브랜드는 성장세가 주춤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빈폴과 폴로의 성장세가 현격히 대비된다"며 "작년 하반기에 폴로가 10%대의 매출 증가율을 달성한 데 비해 빈폴은 소폭 성장에 그쳤다"고 덧붙였다.
현대백화점에서도 마찬가지다. 전점을 기준으로 지난 1~3월 매출을 분석한 결과 7개 브랜드 가운데 폴로가 전년 같은 기간보다 4% 성장해 가장 높았고 빈폴은 증가율이 1%에 그쳤다. 홍용기 롯데백화점 홍보팀 계장은 "7개 브랜드의 롯데백화점 본점 매출을 백분율로 환산,각각의 점유율을 산출해 보면 빈폴과 폴로가 각각 26.3%,26.2%로 거의 차이가 없다"고 말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폴로는 글로벌 브랜드로서 막대한 고객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상품의 다양성이나 각각의 수요층에 맞는 상품 개발 등에서 토종 브랜드에 비해 유리한 편"이라며 "최근 빈폴이 프리미엄급인 '컬렉션 라인'을 강화하면서 디자인 및 원단의 80%를 이탈리아에서 직수입하고 있는 건 이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진성 제일모직 빈폴부문 전략팀장은 "패션의 중심지인 이탈리아 밀라노에 해외 디자인 센터를 구축한 데다 국내에서 개발이 어려운 고급 울,실크 혼방,캐시미어 혼방류 등 수입 소재들을 사용해 '컬렉션 라인'을 생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