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아파트를 짓기 위한 땅을 사고 건설사와 연계해 분양사업을 주도하는 회사를 시행사라고 합니다. 그런데 얼마전까지 사업부지 확보에 열을 올리던 시행사들이 이제는 어렵사리 구한 땅을 되팔지 못해 안달이라고 합니다. 이유가 무엇인지 최서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아파트 분양사업의 실질적 주체였던 시행사. 이들은 주택경기가 양호했던 몇 해전까지만 해도 수도권과 지방 가릴 것 없이 사업부지 확보에 열을 올렸습니다. 분양에 별 어려움이 없어 땅만 확보하면 큰 수익을 올릴 수 있을 거란 기대였습니다. 하지만, 분양시장이 급변하면서 상황은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분양가 상한제와 원가공개가 도입돼면서 오는 9월까지 사업승인을 받지 못할 경우 사업성을 기대할 수 없게 됐습니다. 상황이 이렇게 되면서 9월까지 사업승인이 도저히 불가능한 사업부지를 소유한 시행사들은 매입 절차를 중도 포기하거나 아예 땅을 되팔려고 하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좋은 사업부지를 갖고 있지만 사업진행이 더 이상 어려운 시행사 입장에선 일단 최우선적으로 해야될 부분이 사업에 들어간 비용을 빼내야 하기 때문에, 그런 부분을 안정적인 시행주체, 개인이나 다른 시행사, 쉽게는 시공사, 또는 금융사에게 사업부지를 넘기게 되는 시도를 하게 된다." 결국 시행사 입장에선 대출까지 받아 어렵사리 구한 땅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애물단지된 셈입니다. 대출규제 역시 시행사의 목을 죄고 있습니다. 자금난이 넉넉치 못한 시행사들은 주로 제2금융권을 통해 부지매입 계약금과 중도금을 조달해왔습니다. 하지만, 금감원은 지난해 8월부터 시행사의 중도금 대출에 있어 시공사의 지급보증을 의무화했습니다. 시행사 입장에선 사업부지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자체 보유현금이 10배가량 늘어난 셈입니다. 결국 자금난을 견디지 못하는 시행사들의 줄도산 역시 늘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같은 현상이 부동산 시장에 악영향으로 번질 수 있다는 점입니니다. "시행사가 도산을 하게되는데, 문제는 대부분의 시행사들이 한 사업지만 갖고 있는 것이 아니라 2~3곳을 진행하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기존 사업지까지.. 기존에 분양받은 사람들이나 시공사까지 영향을 미쳐 부동산 시장이나 건설시장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어려움을 견디다 못한 시행사들이 토해내는 사업부지가 늘면서 이 땅에 눈독을 들이는 건설사도 늘고 있습니다. 특히, 분양가 상한제 결정이후 자체 사업을 준비중이던 건설사들의 경우 시행사가 보유한 땅을 선별해 통째로 매입하는 것은 손해볼 것이 없다는 입장입니다. "그동안 자체사업 비중이 적었던 대형건설사들 위주로 자금난으로 사업을 포기한 시행사의 사업권 인수를 적극검토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시행사가) 기존의 토지매입을 고가로 매입했기 때문에 시행사와 시공사 이익이 모두 줄었기 때문에 차라리 (건설사가) 시행권을 같이 인수해서 사업하는 게 낫다고 판단해서 그런 것 같다." 한 유명 부동산전문업체의 경우 시행사와 건설사의 땅 거래를 비롯한 일련의 컨설팅 업무를 신사업으로 시작해 이러한 시장 상황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시행사의) 부지나 이런 것들을 매도한다든지, 아니면 현재 개발 프로세스상에서 필요한 욕구가 굉장히 많은데 그런 부분들을 컨설팅하는 것이 주업무다." 급변하는 분양 제도로 건설산업 구조가 달라지면서 부동산 시장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WOWTV-NEWS 최서우입니다. 최서우기자 swchoi@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