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핵화 상응조치 차원..신고.불능화 단계서 제공

미국이 북한의 `2.13합의' 이행 상황에 따라 소형발전기에 이어 쌀과 의약품 등 인도적 지원을 추가로 구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복수의 6자회담 소식통에 따르면 미국은 약 200만달러 안팎 상당의 소형 발전기를 제공한 뒤 초기조치 이행 시한인 다음달 14일 이후 핵시설 불능화 시점까지 후속 조치로 일단 쌀과 의약품 등 인도적 물품을 지원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미측은 이 같은 구상을 지난 15일 열린 경제.에너지 협력 실무그룹 회의때 비공식적으로 참가국들에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측은 실무그룹 회의 당시 북한의 핵시설 폐쇄.봉인 등 초기 조치에 대한 상응조치인 중유 5만t 상당의 지원에 소형 발전기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참여할 뜻을 밝힌 바 있다.

2.13 합의에 따르면 한.미.중.러 등 4개국은 `불능화' 시점까지 중유 100만t(초기단계 5만t 포함) 상당의 대북 경제.에너지 및 인도적 지원을 평등과 형평의 원칙에 기초해 분담한다.

이에 따라 미측은 18일 속개될 비핵화 실무회의 등을 통해 초기단계 이후 다음 단계의 구체적 비핵화 이행 로드맵이 나오면 지원 규모와 시기 등을 구체화할 것으로 보인다.

한 외교 소식통은 "미국은 클린턴 행정부 시절 제네바 합의때 북한 핵동결에 대한 보상으로 중유가 제공됐던 점 때문에 중유 제공에 대해서는 여전히 소극적"이라며 "인도적 차원의 지원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베이징연합뉴스) 조준형 이정진 기자 jhcho@yna.co.krtransil@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