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6일 이해찬(李海瓚) 전 국무총리가 평양을 방문키로 한데 대해 "우려했던 대로 남북정상회담이 가시화 되고 있다"며 공세를 퍼부었다.

현 시점에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정무특보인 이 전 총리의 방북은 정상회담 수순밟기로 해석할 수 밖에 없고, 대선 국면에서의 정상회담은 한나라당 집권 저지를 위한 목적이라는 게 한나라당의 주장이다.

유기준(兪奇濬) 대변인은 논평에서 "이 전 총리가 6자회담이 타결된 지난 2월13일 개성공단을 비밀리에 방문한 것에 대해서도 다양한 의혹이 나오고 있는데 또 다시 방북하는 것은 남북관계 정상화가 아닌 정상회담 사전정지 작업을 위한 것으로 생각할 수밖에 없다"며 "특히 함께 방북하는 의원들이 대통령 측근이거나 통일외교 전문가여서 그러한 의혹을 더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선을 앞둔 민감한 시기에 정상회담을 하는 것에 대해서는 많은 국민들이 반대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며 "북핵 사태가 해결되지도 않고 여건이 조성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무리하게 정상회담을 추진하는 것은 대선을 위한 정략적인 국면전환용 회담이 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김용갑(金容甲)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대통령 특보 자격으로 북한에 공개적으로 가는 것은 정상회담을 위한 사전협의 말고는 다른 것이 있을 수 없다"며 "세간에는 8.15 정상회담설이 돌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사실상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 노 대통령이 남북회담을 해서 뭘 얻겠느냐"고 반문하면서 "나가는 대통령이 선거에 막대한 영향을 주려는 것으로 밖에 해석할 수 없으며 상당히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정형근(鄭亨根) 의원도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노 대통령이 신임하고 있고, 북에서도 신뢰하고 있는 이 전 총리는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만날 가능성이 농후하다"며 "그러나 북한이 우리 대선에 깊이 관여하겠다는 것을 노골화하는 마당에 현 시점에서 정상회담은 적절치 않으며 다음 정권에서 논의하는게 좋다"고 주장했다.

심재철(沈在哲) 의원도 "이해찬 의원의 방북은 정상회담의 길닦이를 위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자아내고 있다"며 "결국 정략적이고, 국민 혈세를 뿌리는 결과만 낳게 될 뿐이며, 이는 국민들의 소망과 염원을 배신하는 행동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강력히 경고한다"고 말했다.

한편 전재희(全在姬) 정책위의장은 "이재정 통일장관이 지난번 국회에 출석해 북한의 `성홍열' 전염병을 막기 위한 의약품 제공을 하지 않겠다고 했다가 장관급 회담 하는 날 몰래 4억원 어치의 약품을 보냈다고 한다"며 "국회에 협조를 구했으면 한나라당도 협조했을 텐데 보내지 않겠다고 해 놓고 비밀리에 보낸 것은 남북 거래에서 투명성을 요구하는 국민적 요구를 완전히 무시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서울연합뉴스) 김경희 기자 kyungh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