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한명숙 총리의 사퇴에 맞물려 이병완 청와대 비서실장까지 교체하기로 결정했다.

청와대와 행정부의 '얼굴'이 동시에 바뀜에 따라 내각과 비서실 진용은 이제 임기 말 관리체제로 변모하게 됐다.

신임 총리와 비서실장이 누가 되느냐에 따라 부분 개각과 함께 비서실 추가 개편도 예상된다.

◆비서실 문재인 체제 유력


신임 비서실장 임명은 내주 중 이뤄질 전망이다.

윤승용 청와대 홍보수석은 5일 "비서실장 사퇴시기는 이달 중순이며 개헌안 발의는 그 이후에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당초 비서실장의 교체는 개헌 문제가 가닥이 잡힌 이후가 될 것이라는 관측보다 앞당겨진 것이다.

청와대는 이에 대해 헌법개정안 시안이 골격을 갖추고 개헌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궤도에 오르면서 개정안의 국회 처리와 무관하게 이 실장이 제 역할을 충분히 했다는 판단이 내려졌다고 설명했다.

또 노 대통령의 탈당을 계기로 임기 말 구상의 가닥이 잡히면서 비서실장을 조기에 바꾸는 쪽으로 방향이 선회했다.

이 실장도 지난달 초 마지막 1년의 청와대 보좌진을 짤 수 있도록 노 대통령에게 거취를 위임하면서 마음을 비운 상태였다.

신임 비서실장으로 유력하게 거론되는 문재인 전 청와대 민정수석(사진)은 지난해 5월 청와대를 떠나면서도 '참여정부 마지막 비서실장'으로 컴백할 것이라는 관측이 무성했을 정도로 노 대통령의 신임을 받는 최측근이다.

여권 내 부산 인맥의 핵심으로 강직한 성품과 올곧은 일처리 스타일 때문에 임기 말 관리에 적임이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김병준 정책기획위원장과 신계륜 전 열린우리당 의원도 후보로 거론되고 있지만 가능성은 낮은 편이다.

◆비서실 개편 및 부분 개각 가능성


비서실장 교체 이후 비서실 내 일부 수석 등 참모진의 교체가 이뤄질지도 관심이다.

하지만 전해철 민정,박남춘 인사수석,이호철 국정상황실장,윤태영 연설기획비서관 등 핵심 참모들은 임기 말까지 잔류할 것으로 보인다.

윤 수석은 그러나 "비서실 개편까지는 진도가 안 나갔다"면서도 "당장은 아니더라도 개인적 일정에 따라 교체 수요가 있을 것"이라고 말해 순차적인 개편 가능성을 언급했다.

신임 총리 임명에 따른 후속개각이 있을지도 관심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청문회와 표결 등 국회 인준절차를 감안하면 총리직 임명이 끝나는 데 1개월 가까운 시간이 걸리는데 벌써부터 개각을 이야기하는 것은 빠르다"고 말했다.

윤 수석도 "총리가 누가 되느냐에 따라 그에 따른 보완인사가 있을 수는 있겠지만 정해진 것이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선을 앞둔 정치적 상황변화에 따라 정치인 장관을 포함해 개각 수요가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