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의 탈당은 대선을 300일 앞둔 대선정국에 적지 않은 파장을 몰고올 것으로 보인다.

당장 집권여당이 없어지게 돼 당정관계에 근본적인 변화가 불가피해졌다.

열린우리당이 '여당프리미엄'이 사라진 원내 제2당으로 전락,원내 제1당인 한나라당의 발언권이 한층 강화되면서 국회직의 조정도 예상된다.

아울러 향후 여권의 정계개편 여하에 따라 대선구도가 4파전 내지 5파전으로 다각화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당정관계와 국정운영


노 대통령이 탈당하면 열린우리당은 집권여당의 지위를 상실한다.

정부와 여당의 정책 조율을 위한 당정협의도 없어지게 된다.

그간 열린우리당을 중심으로 이뤄져온 당정협의는 이제 모든 교섭단체로 대상이 다각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정부는 주요 정책의 추진을 위해 원내 제2당인 열린우리당보다는 원내 제1당인 한나라당과의 협력체제 구축에 힘을 실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열린우리당에 파견돼 있는 행정부 소속 전문위원들의 '원대복귀'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여당이 사라진 만큼 공무원들이 더 이상 특정 정당에 머물 근거도,명분도 없기 때문이다.

노 대통령은 당적 보유로 인해 떠안았던 선거 패배 등 여러 가지 정치적 부담에서 벗어나 국정에 전념할 수 있지만 가뜩이나 국정 지지율이 바닥인 터에 특유의 정면돌파 스타일을 고집할 경우 고립무원의 위기에 빠질 개연성도 없지 않다.

한나라당의 협조를 구하기 어려운 데다 그간 우군이었던 여당도 노 대통령과의 차별화에 나선다면 노 대통령의 레임덕이 가속화하면서 국정이 표류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렇게 되면 책임정치 실종이라는 비판도 면하기 어렵다.

◆여야관계

열린우리당에서 집권여당이라는 꼬리표가 날아감에 따라 국회 운영의 주도권은 한나라당으로 넘어가게 됐다.

당장 운영위원장 등 국회직의 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열린우리당은 원내 1당 자리를 한나라당에 내준 뒤에도 '집권여당'임을 내세워 운영위원장 자리와 국회 본회의장 좌석 재배치 요구를 거부해왔지만 이제 더이상 명분이 없어진 탓이다.

한나라당은 원내 제1당으로서 정국 주도권을 장악,대선정국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게 됐다.

대선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대한 변수가 하나 사라진 것도 한나라당으로서는 고무적인 대목이다.

반면 국정운영의 책임이 커졌다는 부담도 안게 됐다.

◆대선구도

노 대통령의 탈당으로 대선구도 변화도 예상된다.

여권의 구심점이 사라짐에 따라 범여권의 분화도 가속화할 가능성이 높다.

향후 정계개편의 추이에 따라 여권은 현재의 열린우리당과 중도통합신당,민생개혁신당 등 3개 정당으로 갈려 대선전에서 각개 약진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여권의 분화는 한나라당의 분열을 촉진하는 원심력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만에 하나라도 이명박 전 시장과 박근혜 전 대표가 갈라선다면 대선전은 3김과 노태우 전 대통령 등 4자가 대결을 펼쳤던 87년과 비슷한 양상을 띨 개연성이 없지 않다.

이재창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