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상반기 중 국내에서도 온실가스 배출권에 투자하는 '탄소 펀드'가 나올 전망이다.

8일 산업자원부와 자산운용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상반기 중 국내 첫 탄소펀드를 설정키로 하고 이달 14일 기업체와 금융기관 등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설명회에서 산자부는 정부와 기업, 금융권, 컨설팅회사 등이 참여하는 탄소펀드의 필요성과 추진 계획, 탄소 배출권 시장 동향 등을 밝힐 예정이다.

또 증권회사와 운용사 등을 대상으로 탄소펀드 컨소시엄 구성과 입찰 과정 등에 대한 별도의 설명회도 열 예정이다.

정부가 탄소펀드 설정에 팔을 걷어부친 것은 탄소 배출권 시장 선점을 위한 선진국들의 주도권 다툼이 치열한 가운데 한국이 향후 탄소배출권 감축의무를 부여받을 경우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05년 발효된 교토의정서는 국가별로 배출 가능한 온실가스 총량을 정하고 이에 상응하는 배출권을 선진국 중심의 의무이행 대상국에 부여한 상태다.

이들 의무이행 대상국은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체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 다른 국가의 배출권을 매입하거나 의무 이행 대상이 아닌 개발도상국 등의 온실가스 저감 사업에 투자한 뒤 여기서 발생한 배출권을 확보하기도 한다.

현재 한국은 세계 10위의 온실가스 배출국이며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율도 세계 최고 수준이다.

그러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한국과 멕시코만이 온실가스 감축 의무 이행 대상국에서 빠져 있다.

따라서 한국은 조만간 감축 의무 이행 대상국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런 가운데 온실가스 배출권은 주식이나 채권처럼 새로운 금융상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매년 시장규모도 커져 지난 2005년 94억 유로 규모였던 시장 규모는 지난해 219억유로로 2배 이상 성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배출권 거래 시장을 선점하려는 선진국과 금융기관들의 경쟁도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국내 업계가 사전준비 없이 탄소 배출권 시장 개방을 맞을 경우, 해외 업체에게 안방을 내줄 수 있다는 우려도 형성돼 있다.

자산운용업계 한 관계자는 "아직 산자부의 구체적인 설명이 나오지 않았지만 지난해 설정된 유전펀드와 유사한 형태로 컨소시엄을 구성해 입찰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상훈 기자 meola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