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 부동화 현상은 여전

지난해 콜금리 인상으로 예금 금리가 높아지면서 정기예금이 증가세로 반전했다.

금리 인상이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그러나 정기예금에 비해 단기성 예금이 더 빠른 속도로 불어나고 있어 자금 시장의 단기 부동화 현상은 여전하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12월 말 현재 정기예금 잔액은 259조6천억원으로 1년 전 245조4천억원에 비해 14조2천억원(5.8%) 증가했다고 15일 밝혔다.

2005년 한해 동안 정기예금이 8조9천억원 감소한 것에 비하면 큰 폭의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2005년 10월부터 콜금리가 5차례 오르면서 정기예금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졌다"며 "저금리 때문에 다른 금융상품으로 이동했던 고객들이 일부 돌아올 정도"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정기예금 증가 속도가 단기성 예금에 비해 뒤처지고 있어 단기 부동화 현상이 여전한 것으로 분석됐다.

작년 말 기준 은행 수신은 647조8천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6.3% 늘어났지만 정기예금의 증가율은 이에 못 미치는 5.8%에 불과했다.

또 주로 단기성 자금으로 분류되는 실세요구불예금은 7.6%, 수시입출금식은 6.3% 증가했다.

특히 양도성 예금증서(CD) 등 단기 시장성 예금은 지난 한 해 18.3% 불어났다.

한편 작년 말 현재 자산운용사의 수신은 234조6천억원으로 1년 동안 21.4% 급증했다.

주식형 펀드와 신종 펀드의 작년 한해 가입액이 92.9%, 72.0% 늘어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서울연합뉴스) 박용주 기자 spee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