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과 청와대의 관계가 최악의 국면으로 치닫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이 28일 당적 포기 가능성을 시사한 데 대해 열린우리당은 청와대에 대한 불만을 여과없이 쏟아냈다.

당 지도부는 노 대통령에 대해 정치에서 손을 뗄 것을 공개적으로 요구하고 나섰다.

김한길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고위정책조정회의에서 "이제야말로 당·정분리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정치는 당에 맡기고 대통령은 안보와 경제에 집중하는 게 나라와 국민을 위한 최선의 길"이라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제라도 당과 청와대가 서로를 존중하며 각자 맡은 바 최선을 다하는 정상적인 관계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영길 정책위원회 수석 부의장도 "이제는 대통령이 정치에 개입하지 말고 마지막 임기까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행정부 수반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야 한다"며 대통령의 정치 불개입을 재차 촉구했다.

이 같은 언급들은 더이상 청와대에 일방적으로 끌려다니지 않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것으로,당·청이 결별을 위한 본격적인 수순밟기에 들어갔다는 관측을 낳고 있다.

김근태 의장을 비롯한 주요 당직자들도 이날 오후 여의도의 한 음식점에서 긴급회의를 소집해 당의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회의에서는 당·청관계를 근본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이 주류를 이뤘던 것으로 전해졌다.

우윤근 의원은 "우리도 죽을 맛이다.

탈당을 하겠다면 열린우리당이 기를 쓰고 말릴 이유가 없다"고 잘라말했다.

이석현 의원은 "개인적으로 통합을 하더라도 노 대통령을 빼고 가는 일은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며 "하지만 대통령이 굳이 같이 가지 않겠다면 할 수 없는 일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반면 친노세력들은 지나친 대통령 흔들기는 바람직하지 않다며 지도부를 비판했다.

이광재 의원은 "임기 말만 되면 대통령을 공격하고 흔드는 유행병이 더이상 도지지 않았으면 좋겠다"며 "대통령을 공격한다고 해서 당이나 본인의 지지도가 오르는 것은 아니고 도리어 여권의 혼란만 가중한다"고 당 지도부의 자제를 촉구했다.

여당 내에서는 이 같은 대립이 정계개편 논의를 증폭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는 시각이 많다.

당·청이 결별수순에 접어들면서 당내 통합신당파와 친노그룹 사이에서도 결별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