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수지 적자..정부 전망치는 4.6%

국내외 주요 기관들은 대부분 우리나라의 내년 경제성장률이 세계 경기 둔화 등과 함께 4%대 초반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현재 4%대 후반으로 추정되는 잠재 성장률에 크게 못 미칠 뿐 아니라 재정경제부와 기획예산처 등 정부의 공식 추정치인 4.6%보다 낮은 수준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9일 내부 논의 결과, 내년 성장률 추정치를 4.2%로 잠정 결정했다고 밝혔다.

민간소비와 설비투자 증가율은 각각 3.5%, 4.5% 수준에 머물고 수출 증가율 둔화와 계속되는 서비스 수지 악화로 경상수지가 20억∼30억달러 적자를 기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했다.

연구원은 내년 경제의 위험 요소로 ▲ 미국 등 세계경기 둔화 ▲ 유가 재상승 가능성 ▲ 대선 앞둔 정책 혼란 ▲ 북한 핵문제 등을 꼽았다.

LG경제연구원 관계자도 "추석 이후 4%대 초반 수준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앞서 지난달 12일 성장률 4.3%, 경상수지 45억달러 적자 등을 주요 내용으로 '2007년 경제 전망'을 발표했다.

연구소는 내년 세계 경제성장률이 올해 3.7%에서 3.3%로 떨어지고 글로벌 달러 약세와 고유가가 이어지면서 2007년 수출 증가율은 5년만에 한 자리 수인 8.3%로 추락하고 민간소비, 고정투자 증가율은 각각 3.7%, 2.9%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다
같은달 6일 한국경제연구원은 4.1%를 내년 성장률 추정치로 제시한 바 있다.

해외 주요 투자은행들의 내년 한국 성장률에 대한 컨센서스(평균적 전망)도 4%대 초반에서 형성되고 있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ABN암로, 씨티, 도이체방크, 골드만삭스, JP모건, 리먼브라더스, 메릴린치, 모건스탠리, UBS 등 9개 주요 외국계 투자은행이 9월 중순 이후 보고서를 통해 밝힌 내년 한국 성장률 전망치의 평균은 4.25%로 집계됐다.

ABN암로가 가장 높은 5.1%를 제시했고 메릴린치 4.5%, JP모건 4.5%, 씨티 4.3%, 모건스탠리 4.3%, 리먼브라더스 4.0%, 골드만삭스 4.0%, 도이체방크 4.0% 등은 모두 4%대 성장을 예상했다.

UBS의 추정치가 3.6%로 가장 낮았다.

특히 골드만삭스는 지난달 30일 세계경제 분석 보고서에서 한국에 대해 "서비스업 부문의 성장 둔화로 고용과 내수가 부진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올해 4.4분기와 내년 성장률을 기존 5.25%, 4.75%에서 각각 4.8%, 4.0%로 크게 낮췄다.

최근 사직한 것으로 알려진 모건스탠리 한국 담당 이코노미스트 앤디 시에도 지난달말 보고서에서 "내년 한국의 경제 둔화는 내적 요인 보다 세계 경제 둔화가 원인이 될 것"이라며 올해 4.4분기 이후 내년까지 지속적 성장 둔화를 경고했다.

그러나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 도이체방크 등은 공통적으로 한국 경제가 급격히 위축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진단했다.

<국내외 주요 기관 내년 한국 성장률 전망치> (단위: %)
┌──────┬────┬──────┬────┬─────┬───────┐
│ 기 관 │ 성장률 │ 기 관 │ 성장률 │ 기 관 │ 성장률 │
├──────┼────┼──────┼────┼─────┼───────┤
│ ABN암로 │ 5.1 │리먼브라더스│ 4.0 │삼성경제연│ 4.3 │
├──────┼────┼──────┼────┼─────┼───────┤
│ 씨티 │ 4.3 │메릴린치 │ 4.5 │LG경제연 │4%대초반(잠정)│
├──────┼────┼──────┼────┼─────┼───────┤
│ 도이체방크 │ 4.0 │모건스탠리 │ 4.3 │현대경제연│4.2%(잠정) │
├──────┼────┼──────┼────┼─────┼───────┤
│ 골드만삭스 │ 4.0 │UBS │ 3.6 │한국경제연│ 4.1% │
├──────┼────┼──────┼────┼─────┼───────┤
│ JP모간 │ 4.5 │이상 평균 │ 4.25 │ 정부 │ 4.6% │
└──────┴────┴──────┴────┴─────┴───────┘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shk999@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