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노동력 2020년 480만명 부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노동생산성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 한 2020년에는 노동력이 최대 480만명 정도 부족한 현상이 발생,경제성장을 제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에 따라 향후 경제정책은 생산성 향상과 노동력 공급 확대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산업구조의 중장기 전망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경제가 연평균 4.3% 성장한다고 가정했을 때 2020년에는 총 취업자 기준으로 현재보다 600만명 정도의 추가인력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됐다.
반면 2006~2020년 중 추가 공급될 수 있는 15~64세 생산 가능인구는 120만명에 불과한 것으로 전망됐다.
15세 이상 전체 인구로 범위를 넓히더라도 늘어나는 인구는 460만명에 불과해 140만명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노동인력 부족의 이유를 출산 감소 및 고령화 진전과 함께 고용 비중이 높아지는 서비스업에서 생산성 증가세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되는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향후 15년간 산업별 노동생산성은 제조업이 연평균 4.7% 증가하는 반면 서비스업은 2.2% 증가에 그칠 것으로 추정됐다.
그러나 고용구조는 노동절약적 산업구조 전환으로 제조업의 고용 비중이 2004년 35.9%에서 2020년 24.3%로 줄어드는 반면 서비스업 비중은 56.1%에서 63.4%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됐다.
박성완 기자 psw@hankyung.com
이에 따라 향후 경제정책은 생산성 향상과 노동력 공급 확대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산업구조의 중장기 전망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경제가 연평균 4.3% 성장한다고 가정했을 때 2020년에는 총 취업자 기준으로 현재보다 600만명 정도의 추가인력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됐다.
반면 2006~2020년 중 추가 공급될 수 있는 15~64세 생산 가능인구는 120만명에 불과한 것으로 전망됐다.
15세 이상 전체 인구로 범위를 넓히더라도 늘어나는 인구는 460만명에 불과해 140만명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노동인력 부족의 이유를 출산 감소 및 고령화 진전과 함께 고용 비중이 높아지는 서비스업에서 생산성 증가세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되는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향후 15년간 산업별 노동생산성은 제조업이 연평균 4.7% 증가하는 반면 서비스업은 2.2% 증가에 그칠 것으로 추정됐다.
그러나 고용구조는 노동절약적 산업구조 전환으로 제조업의 고용 비중이 2004년 35.9%에서 2020년 24.3%로 줄어드는 반면 서비스업 비중은 56.1%에서 63.4%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됐다.
박성완 기자 ps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