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 UN총장 사실상 확정] 선출과정 ‥ 美 입장 선회로 대세 장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요란하지 않은 선거전략의 승리였다.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의 조용한 성격이 선거운동 과정에 그대로 투영됐고 노련한 외교관다운 전략이 마침내 성공을 거뒀다.
반 장관의 말을 빌리면 그는 "외교관 생활을 하면서도 유엔 사무총장이 되겠다는 꿈을 꾼 적도 없다"고 한다.
그런 꿈을 꾸기 시작한 것은 작년 여름.유엔 사무총장의 지역순환 관행에 따라 아시아에서 차기 총장이 나와야 한다는 분위기가 형성된 덕분이다.
더욱이 사무총장 출마 의지를 일찌감치 피력했던 홍석현 전 주미 대사가 작년 7월 낙마하면서 반 장관은 작년 9월 우리 정부가 추천하는 후보로 확정됐다.
그 뒤 반 장관은 2월14일 사무총장 입후보 사실을 발표할 때까지 잠행했다.
미국과 중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등의 관계자들을 만나 의중을 타진했다.
"유엔 사무총장에 입후보하려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을 외교적 수사로 던지면서 반응을 떠보는 식이었다는 게 반 장관의 설명이다.
사전탐색에 자신감을 얻은 반 장관은 선거전략으로 '조용한 운동(low-profile)'을 선택했다.
내부적으론 바빴다.
외교부 장관직을 유지하면서 아프리카와 남미,덴마크,슬로바키아 등을 방문했다.
노무현 대통령도 정상회담에 반 장관을 동행하며 간접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첫 걸림돌은 미국이었다.
미국은 "지역순환보다는 능력이 우선"이라며 딴죽을 걸고 나왔다.
희소식이 날아든 건 지난 7월.조지 W 부시 대통령이 7월10일 "내가 알기로 유엔 사무총장은 전통적으로 지역을 순환한다"고 말한 것이 계기가 됐다.
그 같은 입장 변화에는 초지일관 아시아 후보만을 지지할 것이라는 중국의 영향력도 컸다. 이를 바탕으로 반 장관은 7월24일 열린 1차 예비투표에서 찬성 12표,반대 1표,기권 2표로 1위를 차지하면서 대세를 장악하는 데 성공했다.
그렇다고 미국이 반 장관을 지지한다고 자신할 수 있는 계제는 아니었다.
볼튼 유엔 미 대사는 계속해서 '제3후보 가능성'을 흘렸다.
그러나 휴가철이 끝나면서 미국의 분위기는 변했다.
내심 염두에 뒀던 챈홍치 주미 싱가포르대사가 출마를 주저했기 때문이다.
미국의 이런 방침은 지난 9월14일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부시 대통령이 반 장관에게 "당신이 훌륭한 후보라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면서 "행운을 빈다"고 격려했을 때 표면화됐다.
하지만 마지막 걸림돌이 있었다.
3차 투표 때까지 빠지지 않던 '반대표 1개'였다.
반대표가 거부권을 가진 상임이사국인 영국이나 프랑스라는 설이 있어 만만치 않았다.
불행 중 다행인 것은 반대표를 던진 국가가 매번 달랐다는 점.이들의 요구사항을 잘만 파악하면 얼마든지 설득이 가능하다는 얘기였다.
이런 설득은 주효했고 반 장관은 2일 열린 4차 투표에서 '찬성 14표,기권 1표'라는 압도적인 지지로 사무총장 자리를 거머쥐는 데 성공했다.
변수는 남아 있다.
9일 안보리 본투표에서 정식으로 추천을 받아야 한다.
또 총회에서도 비준을 받아야 사무총장으로 선출된다.
그러나 다른 후보들이 줄사퇴해 본투표가 없어질 것이란 예상이 나올 정도로 안보리 분위기는 좋다.
또 안보리의 추천인사를 총회가 박수로 통과시킨 관례를 감안하면 뒤집어질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게 유엔 주변의 관측이다.
뉴욕=하영춘 특파원 hayoung@hankyung.com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의 조용한 성격이 선거운동 과정에 그대로 투영됐고 노련한 외교관다운 전략이 마침내 성공을 거뒀다.
반 장관의 말을 빌리면 그는 "외교관 생활을 하면서도 유엔 사무총장이 되겠다는 꿈을 꾼 적도 없다"고 한다.
그런 꿈을 꾸기 시작한 것은 작년 여름.유엔 사무총장의 지역순환 관행에 따라 아시아에서 차기 총장이 나와야 한다는 분위기가 형성된 덕분이다.
더욱이 사무총장 출마 의지를 일찌감치 피력했던 홍석현 전 주미 대사가 작년 7월 낙마하면서 반 장관은 작년 9월 우리 정부가 추천하는 후보로 확정됐다.
그 뒤 반 장관은 2월14일 사무총장 입후보 사실을 발표할 때까지 잠행했다.
미국과 중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등의 관계자들을 만나 의중을 타진했다.
"유엔 사무총장에 입후보하려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을 외교적 수사로 던지면서 반응을 떠보는 식이었다는 게 반 장관의 설명이다.
사전탐색에 자신감을 얻은 반 장관은 선거전략으로 '조용한 운동(low-profile)'을 선택했다.
내부적으론 바빴다.
외교부 장관직을 유지하면서 아프리카와 남미,덴마크,슬로바키아 등을 방문했다.
노무현 대통령도 정상회담에 반 장관을 동행하며 간접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첫 걸림돌은 미국이었다.
미국은 "지역순환보다는 능력이 우선"이라며 딴죽을 걸고 나왔다.
희소식이 날아든 건 지난 7월.조지 W 부시 대통령이 7월10일 "내가 알기로 유엔 사무총장은 전통적으로 지역을 순환한다"고 말한 것이 계기가 됐다.
그 같은 입장 변화에는 초지일관 아시아 후보만을 지지할 것이라는 중국의 영향력도 컸다. 이를 바탕으로 반 장관은 7월24일 열린 1차 예비투표에서 찬성 12표,반대 1표,기권 2표로 1위를 차지하면서 대세를 장악하는 데 성공했다.
그렇다고 미국이 반 장관을 지지한다고 자신할 수 있는 계제는 아니었다.
볼튼 유엔 미 대사는 계속해서 '제3후보 가능성'을 흘렸다.
그러나 휴가철이 끝나면서 미국의 분위기는 변했다.
내심 염두에 뒀던 챈홍치 주미 싱가포르대사가 출마를 주저했기 때문이다.
미국의 이런 방침은 지난 9월14일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부시 대통령이 반 장관에게 "당신이 훌륭한 후보라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면서 "행운을 빈다"고 격려했을 때 표면화됐다.
하지만 마지막 걸림돌이 있었다.
3차 투표 때까지 빠지지 않던 '반대표 1개'였다.
반대표가 거부권을 가진 상임이사국인 영국이나 프랑스라는 설이 있어 만만치 않았다.
불행 중 다행인 것은 반대표를 던진 국가가 매번 달랐다는 점.이들의 요구사항을 잘만 파악하면 얼마든지 설득이 가능하다는 얘기였다.
이런 설득은 주효했고 반 장관은 2일 열린 4차 투표에서 '찬성 14표,기권 1표'라는 압도적인 지지로 사무총장 자리를 거머쥐는 데 성공했다.
변수는 남아 있다.
9일 안보리 본투표에서 정식으로 추천을 받아야 한다.
또 총회에서도 비준을 받아야 사무총장으로 선출된다.
그러나 다른 후보들이 줄사퇴해 본투표가 없어질 것이란 예상이 나올 정도로 안보리 분위기는 좋다.
또 안보리의 추천인사를 총회가 박수로 통과시킨 관례를 감안하면 뒤집어질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게 유엔 주변의 관측이다.
뉴욕=하영춘 특파원 ha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