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어제 발표한 국제수지 동향에 따르면 7월 경상수지(經常收支)가 다시 2억1210만달러 적자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4월 적자 이후 5월과 6월 겨우 흑자를 냈지만 지난달 적자에 이어 8월에도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한다.

이러다가는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올해 경상수지가 적자를 기록하는 것 아니냐는 걱정도 나온다.

우리 경제의 위기를 예고하는 적신호(赤信號)나 다름없고 보면 이만저만 심각한 상황이 아니다.

무엇보다 적자요인부터가 심상치 않다. 수출은 둔화되는 반면 해외여행경비 등 대외지출이 급증하면서 적자가 쌓이고 있기 때문이다.

상품수지의 경우 자동차업계 파업 여파로 수출이 주춤한 사이 수입은 국제유가 상승 등으로 급증했다.

그런데도 눈덩이처럼 늘어나는 해외여행경비와 유학·연수비용 탓에 서비스수지는 사상 최대의 적자 행진을 기록중이다.

문제는 이 같은 경상수지 적자가 앞으로도 고착(固着)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이미 만성화된 서비스수지 적자 추세가 단기간에 해소될 전망이 보이지 않는데다 고유가와 미국 경기둔화,중국의 긴축 등 대외여건도 악재(惡材) 일색이다.

지금까지는 상품수지 흑자가 힘겹게 우리 경제를 버텨왔지만 이제 그나마도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는 얘기다.

경상수지 적자가 가뜩이나 부진한 성장의 발목을 잡고 고용 및 소비를 위축시켜 경제를 다시 침체의 늪으로 몰고갈 것임은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다.

더구나 경상수지가 일단 적자로 빠지면 이를 되돌리기가 여간 어렵지 않은 게 현실이다.

무언가 새로운 돌파구를 찾지 않으면 우리 경제가 채 회복되기도 전에 다시 주저앉지 않을까 걱정해야 할 처지인 것이다.

그런 점에서 정부는 최근 경상수지가 악화되고 있는 현상을 보다 심각하게 인식하고 경제정책의 근본적인 재점검을 통해 정책 우선순위를 새로 정할 필요가 있다. 단기적으로 환율과 금리 등 거시지표의 안정적인 운용이 시급한 것은 말할 것도 없고,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투자촉진과 고용 및 소비확대에 주안점을 둔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안된다. 기업의 활력을 저해하는 각종 불합리한 규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일부터 서둘러야 할 일이다.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통해 우리 상품의 안정적인 시장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