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日 '동물'ㆍ중국 '神'ㆍ북한 '식물'ㆍ말聯 '꽃' 이름 선호
나비ㆍ매미 등 피해 심각하면 '제명'…여성단체 반발로 남녀명 혼용도


북태평양에서 일본과 중국을 향해 이동 중인 3개의 태풍에는 `마리아'(여성 이름), `사오마이'(베트남어로 `샛별'), `보파'(캄보디아어로 `꽃')라는 이름이 붙여져 있다.

이처럼 다양한 이름이 붙여진 것은 태풍위원회 회원국들이 10개씩 제출한 140개의 태풍 이름에 나라별 특성이 강하게 반영돼 있기 때문이다.

미국이 제출한 `마리아'의 경우처럼 전체적으로는 여성 이름이 많지만 한국과 일본은 동물 이름을, 북한ㆍ말레이시아ㆍ캄보디아는 식물 이름을 선호하며 중국은 신(神)의 이름을 즐겨 쓰는 등 특성이 있다.

시민 공모를 통해 10개 이름을 채택한 우리나라의 경우 `개미', `제비', `너구리', `고니', `메기', 노루', `나비' 등 동물 이름이 무려 7개에 달하며 나머지는 `나리', `장미', `미리내(은하수)' 등 꽃이나 자연현상에서 따 온 것이다.

일본도 우리나라처럼 동물 이름이 많아 `야기'(염소), `우사기'(토끼), `가지키'(청새치), `구지라'(고래), `도카게'(도마뱀), `와시'(독수리) 등 6개나 된다.

북한은 `소나무', `도라지', 버들', `민들레' 등 나무나 꽃 이름이 많고 `기러기', `갈매기' 등 동물 이름은 2개로 다소 적은 편이며 그 외에 `노을' 등 자연 현상 등을 사용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태풍 이름으로 식물을 선호해 `룸비아'(야자수), `낭카'(과일), `물로르'(자스민), `므란티'(나무), `마와르'(장미) 등을 제출해 사용중이며 캄보디아도 절반 가량을 꽃과 나무 이름으로 제출했다.

중국은 `룽왕'(용왕), `우쿵'(원숭이의 왕 손오공), `펑선'(바람의 신), `하이선'(바다의 신), `뎬무'(천둥과 번개의 신) 등 절반이 신의 이름이다.

홍콩은 `산산', `링링', `야냔', `팅팅' 등 여자 애칭이 4개나 되는데 1950년대 이후 `사라', `낸시', `아그네스' 등 여자 이름이 많이 붙여진 것과 비교된다.

당시 미군 예보관들은 자신의 아내나 애인 이름을 사용해 태풍 이름을 많이 지었는데 사람에게 큰 피해를 주는 태풍에 여자 이름만을 사용하는 것에 여성단체가 반발하면서 1979년부터 남자 이름이 번갈아 사용되고 있다.

현재 미국의 경우 태풍명에 사람 이름을 붙인 게 4개인데 이 중 남자명이 `프란시스코' `로키' `비센티' 등 3개이다.

하지만 이들 140개 태풍 이름도 영구적이지는 않아 어느 회원국이 특정 태풍에 큰 피해를 입으면 매년 11월께 열리는 태풍위원회에 해당 이름의 삭제를 요청할 수 있다.

실제로 작년 태풍위원회에서는 3년 전 미크로네시아이 큰 피해를 준 태풍 `수달'의 이름이 `미리내'로 대체됐고 북한이 이름을 내놓은 태풍 `봉선화'와 `매미'도 비슷한 이유로 각각 `노을'과 `무지개'로 바뀌었다.

우리나라가 제안한 `나비'와 라오스의 `맛사', 중국의 `롱왕'도 올해를 끝으로 다른 이름으로 변경될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kak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