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천정배 법무장관 사퇴에 이은 김병준 교육부총리의 사의표명에 따라 금명간 이들 부처에 대한 개각 시기를 정하고 후임 인선에 본격 착수할 것으로 3일 알려졌다.

이에 따라 노무현 대통령은 곧 김 부총리의 사표를 수리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당초 내주 초 노 대통령의 휴가복귀와 함께 법무장관 인선을 단행한다는 방침이었으나 교육부총리 개각요인이 발생함에 따라 이들 부처에 대한 개각을 동시에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와 함께 기획예산처를 비롯한 10개 안팎의 차관급 인사도 단행할 예정이다.

김 부총리 후임으로 여권과 교육계에서는 열린우리당 이미경 의원,신인령 전 이화여대총장,설동근 대통령 자문 교육혁신위원회 위원장 등이 거명되고 있다.

한때 노 대통령이 공을 들였던 민주당 김효석 의원도 하마평에 오르내린다.

이번 논문 파문으로 교수 출신은 배제될 가능성이 높지만 교육수장은 교육전문가가 맡아야 한다는 이유에서 학계 인사들의 이름도 거론된다.

어윤대 고려대 총장,이경숙 숙명여대 총장,교육부 차관 출신인 김신복 서울대 부총장,한국대학교육협의회 사무총장을 지낸 이현청 호남대 총장 등이 거명된다.

일각에서는 난마처럼 얽혀 있는 주요 교육현안을 풀려면 정운찬 전 서울대총장이 적임자라는 의견도 나온다.

법무장관 후보군으로는 김성호 국가청렴위원회 사무처장과 문재인 전 청와대 민정수석 등 3~4명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법무장관의 경우 1주 전부터 후보군을 10명 정도로 넓혀 적임자를 찾고 있다"며 "열린우리당 지도부가 문 전 수석의 법무장관 기용에 부정적이어서 여당의 반응과 여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여권 일각에선 김 부총리 파문 등에 따른 국정쇄신 차원에서 이번 개각 대상에 외교·국방장관이 포함돼야 한다는 의견과 민간인의 국방장관 기용설이 제기되고 있어 주목된다.

양준영 기자 tetri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