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분기 실질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시장의 컨센서스는 물론 국내 각 기관들의 전망치에 못 미친 데는 건설투자가 외환위기 이후 최악의 감소세를 보이는 등 건설부문이 예상보다 부진했던 게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다.

하반기 이후 각종 부동산 관련 규제들이 추가로 시행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건설부문의 회복이 당분간 힘들 것이란 점에서 하반기 경기불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가 무리하게 집값을 잡으려다 건설경기까지 꺾었다는 지적도 그래서 설득력을 얻는 분위기다.

민간연구소들은 올 연말께로 예상했던 경기하강 시점이 보다 앞당겨지고,연간 5% 성장 달성도 힘들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빗나간 정부의 경기 낙관론

이달 초 재정경제부는 하반기 경제운용 계획을 발표하기에 앞서 국내 각 기관들의 경기 전망 담당자들을 초청,거시경제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당시 최대 쟁점은 '전기 대비 1%대 성장률을 유지할 수 있을까'였다.

삼성경제연구소 LG경제연구원 등 민간경제연구소는 하반기에는 전기 대비 1%대 성장세를 유지하기가 힘들 것이란 점을 근거로 경기가 하강 국면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이에 대해 재경부나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정부측 관계자는 "지나치게 비관적 전망"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전기 대비 성장률이 2분기에 이미 0.8%로 1%대에 못 미침으로써 정부의 경기전망은 일단 빗나간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도 다소 실망스럽다는 반응이다.

송태정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2분기 성장률을 연율로 환산하면 3%대 중반밖에 안 된다"며 "성장탄력은 확실히 꺾인 것 같다"고 말했다.

서철수 대우증권 연구원도 "민간소비와 건설 등 내수부문이 생각보다 좋지 않다는 것이 확인됐다"며 "성장률 자체뿐 아니라 내용면에서도 실망스럽다"고 평가했다.


○건설 부진 경기침체 뇌관될 수도

2분기 성장률이 저조한 가장 큰 요인은 건설경기 부진이다.

2분기 GDP를 경제활동별로 보면 제조업(전기 대비 1.4%)과 서비스업(0.9%)은 전체 성장률(0.8%)을 웃돌았다.

그러나 건설업은 전기 대비 2.7%나 감소했다.

건설투자도 전기 대비 3.9%나 감소해 외환위기 때인 1998년 2분기(-6.3%)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문제는 건설부문 부진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기반시설부담금(7월 시행),재건축개발부담금(9월 시행),종합부동산세 대상 확대(12월 납부) 등 건설경기를 위축시킬 각종 규제들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건설경기의 선행지표 역할을 하는 건설수주액도 지난 5월에 전년 동월 대비 22.4%나 감소했고,건설기업들의 체감경기(경기실사지수) 역시 4월 이후 급속히 악화되고 있다.

조원동 재경부 경제정책국장은 그러나 "하반기에 주요 사업비가 집행되면 공공부문 건설 투자가 부진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며 "내수가 괜찮고 대외 여건도 나쁘지 않기 때문에 당초 예상한 5% 성장은 가능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