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가에 따른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우려가 드리우고 있다.

미국의 지난 6월 생산자물가는 유가 상승에 따라 0.5%나 올랐고,소비자물가는 0.2% 상승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핵심 소비자물가는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어 0.3%나 올랐다.

영국과 중국 캐나다 뉴질랜드 폴란드 등에서도 인플레이션 조짐이 완연하다.

이러다 보니 세계적인 금리인상 추세(긴축정책)가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늘어나고 있다.

고유가가 인플레이션을 유발,세계 경제 및 금융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셈이다.

고유가로 인한 인플레이션 가능성에 직면한 나라는 미국이다.

미 노동부는 지난 6월 중 생산자물가 상승률이 0.5%에 달했다고 18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전달 증가율(0.2%)은 물론 당초 월가의 예상치(0.2%)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요인은 고유가다.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핵심 생산자물가는 0.2% 오르는 데 머물렀다.

생산자물가 상승률과 핵심 생산자물가 상승률 차이인 0.3%포인트는 유가와 식품에서 비롯됐다는 얘기다.

실제 지난 6월 중 에너지 가격은 0.7% 올랐다.

휘발유 값은 6.3%나 급등했다.

결국 '석유발 인플레이션'이 가시화되기 시작한 셈이다.

비단 미국뿐만 아니다.

영국도 인플레이션이 심화돼 6월 중 소비자물가지수(CPI)가 2.5% 뛰었다.

전년 대비 기준으로 9개월 사이 최고 수준이다.

영국 중앙은행이 고유가 추세를 감안해 2개월 '목표치'로 설정한 2%를 크게 넘어선 것이다.

중국 역시 고속 성장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지난달 CPI 상승률이 1.5%에 달했다.

지난 1월 이후 최고 수준이다.

유럽연합(EU) 25개 회원국 가운데 인플레이션이 가장 낮게 유지돼온 폴란드도 지난달 물가가 0.8% 상승했다.

이처럼 세계 중앙은행들이 긴축정책을 펴왔음에도 불구하고 물가상승률이 다시 커짐에 따라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도 대두되고 있다.

이와 관련,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은 19일 미국 상원 은행위원회 증언을 위한 사전 연설문에서 "최근 인플레 조짐이 우려스럽고,석유와 원자재 가격 상승이 위험 요소"라며 오는 8월8일 열리는 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을 배제하진 않았다.

일본은 지난 14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5년6개월여 만에 '제로금리정책'에서 벗어났다.

중국도 이달 중 0.27%포인트가량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크다고 뱅크오브아메리카(BOA)가 이날 전망했다.

유럽중앙은행(ECB)도 다음 달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할 공산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뉴욕=하영춘 특파원 ha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