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이야기] 교통정책 시행전 사전평가 바람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보행 중 교통사고의 약 60% 이상이 자택에서 500m 이내의 이면도로와 골목길에서 발생하고 있다.
일반 교통생활 중 상대적 교통 약자라고 할 수 있는 보행자가 열악한 도로환경 속에서 자동차의 횡포에 희생당하는 경우가 많다는 얘기다.
물론 우리나라도 유럽의 Zone 30,미국의 School Zone과 같은 보행 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들을 도입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 시행에 따른 사후 모니터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게 현실이다.
최근에는 여러 정책들이 실시 단계에서 지역 주민의 민원 저항에 부딪쳐 원점으로 돌아가는 사례가 생기곤 한다.
예를 들어 도로안전 측면에서 보행 환경 개선을 위해 이면도로에 과속방지턱을 설치 또는 차로를 축소하는 경우,차량 감속에 따른 소음 발생으로 지역 주민이 시설물 설치 자체를 반대하는 사례를 들 수 있다.
도로 계획상 정보 공개와 주민 의견을 반영하는 필요성에 대해서는 이미 주민 참여 제도가 발달해 왔다.
가까운 일본은 교통계획에서 의사결정과 합의 형성을 위한 새로운 프로세스를 시범적으로 도입 적용해 왔고,그 중 하나가 '사회실험'이라는 방법이다.
'사회실험'이란 새로운 정책의 전개와 원활한 사업 집행을 위해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정책을 도입하기에 앞서 시민 참여를 통해 특정 장소와 기간에 정책을 미리 집행하고 평가하는 것.지역이 안고 있는 문제 해결을 위해 관계자와 지역 주민이 정책을 도입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실제로 일본의 한 지역에서는 보행자를 위한 안전한 도로환경 조성을 위한 사회실험을 도입,생활도로를 정비한 결과 그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도로환경 개선 사업은 주민 설명 단계에서 이미 상세하게 결정돼 있기 때문에 주민 의견을 충분히 반영시킬 수 있는 과정이 미흡한 실정이다.
지금부터라도 생활과 밀접한 교통 인프라 정비에 좋은 방안들을 접목시켜 보다 안전한 교통문화가 정착되길 기대해 본다.
일반 교통생활 중 상대적 교통 약자라고 할 수 있는 보행자가 열악한 도로환경 속에서 자동차의 횡포에 희생당하는 경우가 많다는 얘기다.
물론 우리나라도 유럽의 Zone 30,미국의 School Zone과 같은 보행 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들을 도입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 시행에 따른 사후 모니터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게 현실이다.
최근에는 여러 정책들이 실시 단계에서 지역 주민의 민원 저항에 부딪쳐 원점으로 돌아가는 사례가 생기곤 한다.
예를 들어 도로안전 측면에서 보행 환경 개선을 위해 이면도로에 과속방지턱을 설치 또는 차로를 축소하는 경우,차량 감속에 따른 소음 발생으로 지역 주민이 시설물 설치 자체를 반대하는 사례를 들 수 있다.
도로 계획상 정보 공개와 주민 의견을 반영하는 필요성에 대해서는 이미 주민 참여 제도가 발달해 왔다.
가까운 일본은 교통계획에서 의사결정과 합의 형성을 위한 새로운 프로세스를 시범적으로 도입 적용해 왔고,그 중 하나가 '사회실험'이라는 방법이다.
'사회실험'이란 새로운 정책의 전개와 원활한 사업 집행을 위해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정책을 도입하기에 앞서 시민 참여를 통해 특정 장소와 기간에 정책을 미리 집행하고 평가하는 것.지역이 안고 있는 문제 해결을 위해 관계자와 지역 주민이 정책을 도입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실제로 일본의 한 지역에서는 보행자를 위한 안전한 도로환경 조성을 위한 사회실험을 도입,생활도로를 정비한 결과 그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도로환경 개선 사업은 주민 설명 단계에서 이미 상세하게 결정돼 있기 때문에 주민 의견을 충분히 반영시킬 수 있는 과정이 미흡한 실정이다.
지금부터라도 생활과 밀접한 교통 인프라 정비에 좋은 방안들을 접목시켜 보다 안전한 교통문화가 정착되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