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배구조 우수' 평가받은 기업, 신용등급 높지만은 않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업지배구조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는 기업이 반드시 신용등급이 높은 것은 아니라는 분석이 나왔다.
박홍규 한국신용정보 연구위원은 27일 '지배구조와 신용위험' 보고서를 통해 "어떤 기업의 지배구조가 우수하더라도 신용등급은 지배구조 외에도 산업위험을 비롯한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반드시 높은 신용등급으로 이어지지 않는다"고 밝혔다.
박 위원은 "기업지배구조와 신용등급의 이 같은 낮은 연관성은 기존의 기업지배구조 평가 모형이 대부분 주주이익에 초점을 두고 채권자 이익은 상대적으로 간과하고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신용평가는 기본적으로 향후 채무불이행 발생 가능성에 대한 전망으로 미래에 초점을 둔 평가인 반면 거의 모든 기업지배구조 평가는 현재에만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박 위원은 이와 함께 가족경영 기업에 대해 "기본적으로 신용도에 긍정적인 요소와 부정적인 요소가 공존한다"며 "가족소유가 위험을 증가시키는지,감소시키는지는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평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수언 기자 sookim@hankyung.com
박홍규 한국신용정보 연구위원은 27일 '지배구조와 신용위험' 보고서를 통해 "어떤 기업의 지배구조가 우수하더라도 신용등급은 지배구조 외에도 산업위험을 비롯한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반드시 높은 신용등급으로 이어지지 않는다"고 밝혔다.
박 위원은 "기업지배구조와 신용등급의 이 같은 낮은 연관성은 기존의 기업지배구조 평가 모형이 대부분 주주이익에 초점을 두고 채권자 이익은 상대적으로 간과하고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신용평가는 기본적으로 향후 채무불이행 발생 가능성에 대한 전망으로 미래에 초점을 둔 평가인 반면 거의 모든 기업지배구조 평가는 현재에만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박 위원은 이와 함께 가족경영 기업에 대해 "기본적으로 신용도에 긍정적인 요소와 부정적인 요소가 공존한다"며 "가족소유가 위험을 증가시키는지,감소시키는지는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평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수언 기자 soo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