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ST 총장에 '非외국인ㆍ非국내파' 서남표 美MIT 석좌교수 선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로버트 러플린 현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의 후임으로 서남표 미국 MIT(매사추세츠공대) 석좌교수(70)가 뽑혔다.
KAIST는 23일 서울 JW메리어트 호텔에서 이사회(이사장 임관 삼성종합기술원 회장)를 열어 신성철 KAIST 교수,강성모 미국 샌타크루즈 캘리포니아 공대학장 등 3명의 후보 중 서 교수를 신임 총장으로 내정했다고 밝혔다.
순수 외국인도 아니고 국내파도 아닌 중간적인 미국 국적의 재외 한국인 과학자가 선택된 것이다. 이는 현 러플린 총장이 외국인으로 처음 총장으로 취임하며 재임 중 끊임없이 교수들과의 마찰을 빚은 것과 국내파로는 개혁에 있어 한계에 부딪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절충한 선택으로 분석되고 있다.
임관 이사장은 이와 관련,"서 교수가 KAIST와 연세대에서 초빙 교수를 역임하고 BK사업의 해외 자문역을 맡는 등 국내 정세에도 밝다는 점을 많이 감안했다"고 선임 배경을 설명했다. 서 총장 내정자는 과학기술부 장관의 승인을 얻어 내달 14일 로버트 러플린 현 총장에 이어 취임하며 임기는 4년이다.
서 총장 내정자는 이날 한국경제신문과의 전화 인터뷰를 통해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 미국 대학에서의 경험과 한국적 정서를 접목해 KAIST를 세계적인 대학으로 성장시키는 데 온 힘을 쏟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그는 "50여년을 미국에서 살아 한국 실정에 그다지 밝지 못해 걱정이 앞선다"면서도 "KAIST의 주인인 국민들을 절대 실망시키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우선 대학의 장래를 생각하는 많은 이를 만나 귀를 열어 이들의 얘기를 경청하고 그 뒤에 KAIST 발전과 개혁의 청사진을 내놓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KAIST가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대학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신의 정체성을 살려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조건 MIT의 개혁 모델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 KAIST와 MIT는 서로 다른 역사와 전통을 갖고 있고 추구하는 목표도 다르기 때문이지요." 그는 특히 현재 KAIST는 중국의 세계적 이공대학인 칭화대와도 경쟁을 해야 하는 절박한 시점이기 때문에 KAIST 내부 구성원들의 협력이 매우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MIT의 실험실 운영과 지도하는 학생 문제 등 몇 가지 처리해야 할 일이 남아 내달 초께 한국으로 올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서 총장 내정자는 경북 경주 태생으로 1955년 미국으로 건너가 MIT에 입학,학부와 대학원 석사 과정을 마친 뒤 64년 카네기멜론대학에서 기계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65년 사우스 캐롤라이나대학에서 교수생활을 시작했으며 70년 MIT로 옮겨와 90년부터 2001년까지 기계공학과장을 지냈다.
그는 학과장을 지내며 130년 전통의 기계공학과를 획기적으로 변신시켜 행정가로서의 지도력도 높게 평가받았다.
오춘호 기자 ohchoon@hankyung.com
KAIST는 23일 서울 JW메리어트 호텔에서 이사회(이사장 임관 삼성종합기술원 회장)를 열어 신성철 KAIST 교수,강성모 미국 샌타크루즈 캘리포니아 공대학장 등 3명의 후보 중 서 교수를 신임 총장으로 내정했다고 밝혔다.
순수 외국인도 아니고 국내파도 아닌 중간적인 미국 국적의 재외 한국인 과학자가 선택된 것이다. 이는 현 러플린 총장이 외국인으로 처음 총장으로 취임하며 재임 중 끊임없이 교수들과의 마찰을 빚은 것과 국내파로는 개혁에 있어 한계에 부딪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절충한 선택으로 분석되고 있다.
임관 이사장은 이와 관련,"서 교수가 KAIST와 연세대에서 초빙 교수를 역임하고 BK사업의 해외 자문역을 맡는 등 국내 정세에도 밝다는 점을 많이 감안했다"고 선임 배경을 설명했다. 서 총장 내정자는 과학기술부 장관의 승인을 얻어 내달 14일 로버트 러플린 현 총장에 이어 취임하며 임기는 4년이다.
서 총장 내정자는 이날 한국경제신문과의 전화 인터뷰를 통해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 미국 대학에서의 경험과 한국적 정서를 접목해 KAIST를 세계적인 대학으로 성장시키는 데 온 힘을 쏟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그는 "50여년을 미국에서 살아 한국 실정에 그다지 밝지 못해 걱정이 앞선다"면서도 "KAIST의 주인인 국민들을 절대 실망시키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우선 대학의 장래를 생각하는 많은 이를 만나 귀를 열어 이들의 얘기를 경청하고 그 뒤에 KAIST 발전과 개혁의 청사진을 내놓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KAIST가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대학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신의 정체성을 살려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조건 MIT의 개혁 모델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 KAIST와 MIT는 서로 다른 역사와 전통을 갖고 있고 추구하는 목표도 다르기 때문이지요." 그는 특히 현재 KAIST는 중국의 세계적 이공대학인 칭화대와도 경쟁을 해야 하는 절박한 시점이기 때문에 KAIST 내부 구성원들의 협력이 매우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MIT의 실험실 운영과 지도하는 학생 문제 등 몇 가지 처리해야 할 일이 남아 내달 초께 한국으로 올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서 총장 내정자는 경북 경주 태생으로 1955년 미국으로 건너가 MIT에 입학,학부와 대학원 석사 과정을 마친 뒤 64년 카네기멜론대학에서 기계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65년 사우스 캐롤라이나대학에서 교수생활을 시작했으며 70년 MIT로 옮겨와 90년부터 2001년까지 기계공학과장을 지냈다.
그는 학과장을 지내며 130년 전통의 기계공학과를 획기적으로 변신시켜 행정가로서의 지도력도 높게 평가받았다.
오춘호 기자 ohc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