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증시를 두고 모건스탠리와 골드만삭스증권이 대척점에 서 있다.이코노미스트와 투자전략가들이 '한 시대가 끝나가고 있다'며 연이어 쏘아대고 있는 모건스탠리.

여름철 악천후는 만날 수 있으나 가을쯤 오를 수 있다는 골드만삭스.

위험 회피 시대의 처방전(Rx during risk aversion ; 골드만삭스)

티모시 모에(골드만삭스) 아시아 수석전략가는 "지난달 8일까지 연간 누적 수익률 20%를 달리던 아시아 증시가 한달 만에 12% 고꾸라지면서 폭락 장세가 연출했다"고 지적하고"전통적으로 방어적 성격이 강하다던 싱가포르마저 10% 떨어지고 유틸리티섹터도 하강하는 등 시장-업종을 가리지 않는 고통이었다"고 진단.

다만 미국은 물론 유럽-남미 등 세계 증시의 동반 하락으로 아시아만의 악재가 아닌 글로벌 금융시장내 위험감소 거래의 선호 탓임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이와관련 지난해 10월 후반부터 올해 5월초 고점까지 250억달러어치의 아시아 주식을 사들였던 외국인 투자가들이 한달만에 거의 절반 수준인 120억달러 어치를 처분할 정도로 위험욕구가 급속히 감퇴했다고 설명.미국의 금리나 경기 전망 우려감이 배경.

또 각 국의 옵션시장에서도 내재변동성 지표내 상당한 신중함을 드러내고 있다고 지적.

모에는 "그러나 외국인 자금이나 옵션 변동성,신용 스프레드,뮤추얼펀드내 현금잔고 등을 묶어서 본 아시아의 위험욕구 지표는 과거 지지선 구간까지 내려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단기간 급락으로 미처 주식을 팔지 못했던 투자자들을 중심으로 위험욕구의 추가 청산폭을 놓고 걱정하고 있는 것 같다고 소개, 관련 지표들은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미국 증시에 상장된 아시아 지수펀드(ETF)의 거래대금 추이를 보면 투자자들이 충분한 기회가 있었음에도 익스포져를 크게 줄이지 않았으며 대량의 자금인출도 발견되지 않은 점은 긍정적.반면 미국 투자가들의 해외 뮤추얼펀드비중이 직전(1994년) 고점을 상회하고 있어 미국 투자자를 중심으로 추가 청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관측.

모에는 이어 "주가 반등시 찬물을 끼얹을 만한 공급 물량 여부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며"공모 예정까지 올해 연간기준 1천260억달러의 신규 물량이 잡혀 있어 지난해 800억달러를 크게 웃도나 시가총액대비 2.4%로 크게 부정적인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주가가 추가로 밀리면 공모 시점을 연기할 가능성도 제기.

모에는 "마지막으로 아시아 증시의 현재 밸류에이션을 보면 지금부터 추가 하락 가능폭은 10% 이내인 반면 12개월기준 상승 잠재력은 20%선으로 보상:위험의 비율이 2:1로 산출된다"고 밝혔다.

5월초 13.9배이던 아시아의 주가수익배율은 12.4배로 내려와 있고 자산승수는 2.0배 그리고 배당수익률은 3.4% 등으로 매력적이라고 언급.

모에는 "따라서 당분간 거시지표에 온통 관심이 쏠리고 손상된 투자신뢰 회복에도 시간이 필요한 만큼 여름철 증시는 변동성을 보일 수 있으나 양호한 펀더멘탈과 밸류에이션 매력을 발판삼아 가을쯤 상승세로 돌아설 것"으로 기대했다.

강한 성장 전망과 밸류에이션 매력을 갖춘 삼성전자,국민은행,오리온,한진중공업 등 아시아 기업 20개를 추천했다.

한 시대의 종말(End of an Era ; 모건스탠리)

모건스탠리는 앞으로 아시아 경제나 기업에 대해 지난 10년간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악재(=미국의 弱소비-弱달러)를 만나게 될 것으로 평가했다.

수석전략가 말콤 우드는 "자사 분석가들이 2분기 미국 경제성장에 대해 2.4% 성장속도로 1분기의 5.3%에서 크게 내려오고 지난해 평균 3.5%보다 둔화될 것으로 보고 있으나 그래도 연착륙 시나리오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추가 하강 위험을 배제할 수 없으며 행여 닥칠 경착륙 가능성을 면밀히 체크하기 위해 미국의 가솔린가격-주택경기(NAHB시장지수 등)-증시내 홈빌더 업종 등의 움직임 등을 주목해야 한다고 밝혔다.

우드는 "또한 보호무역 바람 앞에 놓여 있는 중국 위안화의 향방도 중요한 변수이며 만약 위안화가 절상될 경우 다른 아시아 통화도 3~7%의 추가 절상에 시달릴 수 있다"고 예상했다.반대로 위안화 절상이 없다면 무역보복 조치가 뒤따르며 중국에 매우 부정적인 결과로 이어져 다시 아시아 역내 무역까지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평가.

우드는 "이처럼 미국의 弱경기-弱달러는 아시아의 주력 수출시장(=미국)에서 매우 중요한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는 뜻이며 무시할 수 없는 악재"라고 밝혔다.역내 무역분을 빼면 아시아의 수출의 미국시장 기여율은 29.7%에 달한다고 설명.

이와관련 모건스탠리는 미국의 수입증가율이 약달러나 경기 둔화 등으로 내년 3.4%(올해 8.0%)까지 하락할 것으로 점치고 있으며 만약 현실화될 경우 아시아의 실질 GDP는 1.0~1.5%P 깎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현재 기업이익 증가율 컨센서스가 두 자리수대 초반으로 잡혀 있으나 한 자리수 초-중반대로 추락.

우드는 "국가별로는 말레이시아-싱가포르-중국의 타격이 가장 크며 당연히 미국 소비경기 의존도가 높은 섹터나 기업도 부정적일 것"으로 추정했다.그같은 기업들은 한국이나 대만,호주에 집중.

특히 환율로 인해 아시아-일본간 기업 경쟁력을 가열시킬 것으로 예상하고 일본과 직접 싸우는 기업들도 조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우드는 "따라서 한국과 대만의 기술주 비중을 더 축소시킨다"고 밝혔다.종목으로 삼성전자-혼하이-TSMC 비중을 낮춰 모델 포트폴리오내 삼성전자 비중을 2.2%로 MSCI 기준치 4.6%보다 크게 낮게 제시했다.

이에 앞서 같은 증권사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앤디 시에는 "아시아 증시에서 곰의 장세(Bear Market)이 시작됐을 수 있다"고 평가하고"앵글로-색슨권의 주택경기가 하강해 자칫 구조적 하락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한경닷컴 박병우 기자 parkb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