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기사는 기획 PR 기사입니다 >

정부의 강도 높은 주택시장 규제책으로 가뜩이나 실수요 층이 엷은 지방 주택시장이 유탄을 맞고 있다.

특히 부산 대구 울산 및 경남지역 등 영남권은 상황이 심각하다.

과거 높은 분양가로 공급됐다가 이제 입주가 시작된 아파트단지마다 시세가 분양가 밑으로 떨어지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고, 새로 공급되는 아파트들도 미분양과 계약 해지가 잇따르고 있다.

당초 서울 등 수도권에서 택지가 부족한 상황에서 2004년 정부가 분양권 전매를 완화하자 건설사들이 이들 지역에 몰려 경쟁적으로 고가 분양에 나섰던 데 따른 후유증을 톡톡히 겪고 있는 양상이다.

정부는 2004년 7월 부산 대구 울산 등 지방 투기과열지구에 대해 분양권 전매요건을 '계약 후 1년'으로 완화했다.

서울ㆍ수도권과 똑같이 입주(소유권 이전등기) 때까지 분양권 전매가 금지된 결과 지방 경기가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조치였다.

당시 일감이 없어 고심하던 건설사들은 이를 계기로 부산ㆍ대구 등으로 발길을 돌렸다.

저금리 속에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하던 수도권 실수요자와 일부 투기세력도 계약 후 1년만 지나면 웃돈을 챙길 수 있다는 기대감으로 대거 투자에 나섰다.

여기에 시행사들의 택지매입 경쟁까지 과열돼 땅값이 치솟았고,이는 아파트 분양가 상승으로 직결됐다.

실제 대구지역의 평균 분양가는 2004년 평당 615만원에서 지난해에는 평당 778만원으로 높아졌다.

분양가 결정은 시행사의 역할이 크다.

건설사는 공사에서 수익을 낼 뿐이다.

적정 수익 이상의 턱없이 높은 분양가를 주장하는 일회성 개발업체는 퇴출돼야 마땅한 이유다.

최근 시공사뿐만 아니라 개발업체들끼리의 경쟁도 치열해지면서 몇몇 업체들이 '되는' 곳에서 한몫 챙기려는 생각에 분양가를 높이는 데 가세하고 있다.

고가 분양이 문제가 되는 것은 부동산시장 전체에 파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후에 공급되는 아파트 분양가의 기준이 되는 것은 물론 주변 아파트 값에도 영향을 미친다.

시행사가 고가 분양의 유혹에 빠져들면 들수록 더 많은 규제가 필요해지고 결국에는 더 큰 손해를 입게 될 것이라는 점은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눈앞의 이익에 급급해 스스로를 옭아매는 일은 '교각살우'(矯角殺牛)의 우를 범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시장에서 검증받은 적이 없는 일회성 개발업자들이 판치는 상황에서 정도경영을 고집하며 높은 분양성공률을 이어가는 우량 건설사와 시행사들이 있다.

한양아파트의 새 브랜드인 '수자인(秀自人)'을 선보이며 재도약의 비상을 준비하고 있는 주택건설 명가 (주)한양과 '울산의 강남'으로 불리는 남구 삼산동에 들어설 주상복합 '대성스카이렉스' 316세대 분양을 앞두고 있는 은성산업개발(주)가 바로 그런 회사다.

또 대구시 동구에 '로하스' 개념이 도입된 아파트 브랜드 '신일해피트리'를 분양하는 (주)금보도 정석으로 승부해 시장에서 입지를 굳힌 시행사다.

이 회사는 금녀(禁女)의 벽을 허물고 시행업계에서 여풍(女風)을 몰고 온 류금정 대표의 우먼파워로 주목받고 있는 업체다.

창업하긴 쉬워도 생존하기 어려운 게 기업이다.

그렇다면 사람 나이로 환갑을 넘긴 국내외 대표적 장수기업들은 어떻게 장수할 수 있었을까? 전문성과 내실을 추구하며 고객 눈높이에 맞추는 한편, 끊임없는 혁신과 윤리경영에 충실한 것이 장수기업의 공통점이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간판보다 실속을 중시하고 품질과 서비스 기준을 한 단계 올리며 발 빠른 행보를 보이는 정도경영, 윤리경영의 주인공들을 만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