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금융회사 씨티그룹에 내려진 규제 당국의 대형 인수·합병(M&A) 금지 처분이 1년 만에 해제됐다. 이에 따라 씨티그룹이 또 다시 몸집 불리기에 나설지 주목된다. 뉴욕연방준비은행은 지난 3일 씨티그룹에 M&A를 허용한다고 통지했다. 작년 3월 "지배구조를 개선하기 전까지는 대규모 인수를 금지한다"며 규제에 나섰던 뉴욕 연준은 이번에 씨티그룹에 보낸 문서에서 "씨티그룹의 사내 위험관리 프로그램 등이 상당한 진전을 보였다"고 해제 이유를 설명했다. 씨티그룹이 1년간의 족쇄에서 풀려남에 따라 다시 적극적인 사세 확장에 나설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씨티그룹은 1988년 트래블러스그룹과 씨티코프의 합병으로 탄생한 이후 지금까지 100여건의 M&A를 통해 글로벌 금융그룹으로 성장했을 만큼 공격적인 기업인수 전략을 구사해왔다. 그러나 씨티그룹은 현재로선 대형 M&A 계획이 없다는 입장이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도 씨티그룹의 찰스 프린스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의 말을 인용해 "씨티그룹은 현재 아시아 동유럽 러시아와 여타 신흥시장에서 영업망을 확대하기 위한 중간 규모의 기업인수 전략에 집중하고 있다"고 전했다. 씨티그룹은 2001년과 2002년 각각 엔론과 월드컴의 회계부정에 연루된 혐의로 수십억달러의 합의금을 지급했다. 또 일본 영국 중국 등에서도 대형 금융 스캔들에 휘말려 '스캔들 왕국'이라는 오명을 뒤집어쓰기도 했다. 이에 따라 2003년 취임한 프린스 회장은 회사의 내부 통제를 강화하고 간부들의 신뢰성을 제고하는 등 기업 문화 개선에 힘써왔다. 그러나 씨티그룹은 M&A 자문 대상 기업의 주식을 내부 거래한 혐의로 지난달 말 호주 규제당국으로부터 소송을 당하는 등 아직 구태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이번 연준의 결정이 성급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