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올해 코스닥 시장에서 퇴출되는 기업수가 지난해에 비해 크게 줄어들 전망입니다. 집단 소송제 시행을 앞두고 기업들의 회계투명성이 높아진 것도 원인이지만, 우회상장이나 유상증자 등 임기응변으로 퇴출사유를 해소한 곳이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보도에 박병연기잡니다. (기자) 금융당국의 퇴출강화 조치에도 불구하고 올해 코스닥 시장에서 퇴출되는 기업은 지난해에 비해 크게 줄어들 전망입니다.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3월말 현재 퇴출 사유가 발생한 코스닥 기업은 모두 7개사로 지난해 같은 기간 21개사에 비해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햇습니다. 올해 퇴출사유가 발생한 기업 중 세니콘, 서원아이앤비, 에스피컴텍 등 3개사는 상장폐지가 확정됐으며 대한바이오, 씨오텍, 휘튼, 성광 등 4개사는 오는 10일 사업보고서 재확인 후 상장폐지 여부가 판가름납니다. 이처럼 올해 코스닥 퇴출기업 수가 크게 줄어든 것은 집단소송제 시행에 대비해 코스닥 기업들이 부실자산을 대대적으로 정리하고 회계 투명성을 개선시키면서 감사의견 거절 사유가 크게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실제 그동안 코스닥 기업 퇴출사유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던 '감사의견 미달' 사유가 지난해 16개사에서 올해에는 5개사로 줄어들었습니다. 또 지난해 이후 코스닥 시장이 활기를 되찾으면서 기업들의 유상증자나 우회상장이 원활해졌고, 이에 따라 기업들의 시가 총액이 크게 증가한 것도 퇴출 기업수가 줄어든 원인이라는 분석입니다. 그러나 일부에선 코스닥 기업의 회계 투명성이 개선된 것으로 파악하기엔 무리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퇴출사유는 모면했지만 투자판단에 신중을 기해야 할 대상인 '계속기업 존속의문 적정', '한정' 의견을 받은 기업이 지난해 54개사에서 올해에는 62개사로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또 일부 부실기업들의 경우는 상장폐지만은 모면하기 위해 결산종료 후 감사보고서 제출 시한까지 자본을 확충하는 편법까지 동원하는 등 제도상의 허점을 이용하는 사례도 늘어났다는 분석입니다. 와우TV뉴스 박병연입니다. 박병연기자 bypark@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