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예상외의 파격 행보를 보이고 있다. 미국의 금융제재에 대해 북한 외무성이 "국제적인 반(反) 자금 세척활동에 적극 합류해 나갈 것"이라고 밝히면서 유화 제스처를 취한 데 이어 3년 넘게 교착상태에 빠져 있던 북·일 수교회담도 재개했다. 사실상 입북 거부 상태이던 윤만준 현대아산 사장의 방북을 허용하고,장성급 군사회담도 20개월여 만에 재개키로 하는 등 경협 확대의 걸림돌을 제거하는 데도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변화들은 특히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지난달 중국 방문 이후 집중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와 관련,김 위원장은 중국 방문 당시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에게 미국의 경제제재가 이어지면 북한체제가 무너질 수도 있을 것이라는 우려를 표시했다고 일본 교도통신이 11일 보도했다. 이에 따라 북한이 경제제재로 인해 자금난과 국제적 고립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근본적인 정책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위폐 문제에 따른 대미 긴장관계를 중국 등을 통해 해결하고,경제적으로도 안전장치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적 판단 때문이라는 게 상당수 북한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남북관계의 획기적 진전을 위한 각종 조치도 남측을 통해 자신의 변화를 국제적으로 보여주려는 이른바 '지렛대 효과'를 염두에 둔 포석으로 해석된다. 제3차 남북장성급 군사회담을 조만간 열기로 합의함으로써 군사적 신뢰구축의 기대감을 높이고,김대중 전 대통령의 방북을 통해 올해 중 남북 정상회담이라는 '빅 카드' 성사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에 대한 우리 정부의 판단은 아직 유보적이다. 다만 이해찬 국무총리가 12일 아프리카 진보정상회의에 참석한 자리에서 "북한은 세계경제 구조를 떠나서는 생존하기 어렵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고 언급,북한의 개방 확대를 촉구했다. 한 북한 전문가는 "북한의 변화가 제스처에 그칠지,구체적 행동으로 이어질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며 "상반기 중으로 예정된 남북회담 등을 통해 북한의 진의가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